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d라이브러리
"
이름
"(으)로 총 7,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언어 능력 담당하는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언어장애를 일으키는 변이가 7번 염색체에 있다는 점을 알아내고 이 부분을 ‘SPCH1’이라
이름
붙였다.그 후 이런 변이를 일으키는 유전자를 찾는 과정에서 연구팀은 이 집안에 속하지 않은 5세 어린아이가 같은 형태의 언어장애를 갖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 아동은 7번 염색체의 한 부분이 5번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이름
은 환자의 혈액에서 비정상적인 백혈구의 수치가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이다. 우리나라에서 백혈병은 대략 인구 10만명 당 10명 정도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연간 3천-4천명 정도가 백혈병 진단을 받는다.백혈병에는 급성과 만성의 두가지가 있다. 급성백혈병은 조기에 발견해 ... ...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넘는 별과 기타 물질로 이뤄진다. 우리는 우리은하를 이루는 1천억개의 별 중 해라는
이름
을 가진 작고 노란 별이 거느린 세번째 행성, 지구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한때는 우리은하가 우주에서 유일한 우주인 줄 알고 영어로 ‘the Galaxy’ 같이 표기한 적도 있다. 하지만 무수한 은하가 ... ...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문화유산 가운데 하나다. 처음에는 ‘석불사’라 불렸는데, 조선시대 숙종 41년(1715년)에
이름
을 석굴암이라고 고치고 몇차례의 수리를 했다. 하지만 당시의 사회 분위기로 인해 세간에서 잊혀졌다가 조선 말기에 이르러 크게 중수됐다. 일설에는 1907년 우편배달부가 우연히 다시 발견해 세상에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자신을 방금 전까지 진료한 의사를 알아보지 못했다. 누구를 소개해줘도 수분 이내에
이름
이나 얼굴을 까먹었다.30년 동안 정신과 의사들과 심리학자들은 그의 증상을 연구했고 덕분에 단기기억의 정체를 밝혀낼 수 있었다. ‘해마가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넘기는 역할을 한다’는 놀라운 ... ...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지나는 가을 은하수에 머리를 적시고 꼬리는 페가수스자리 쪽으로 향하고 있다. 모양과
이름
이 잘 어울려서 그런지 보고 있으면 흐뭇해지는 별자리다.ㅣ삼각형자리 TRIANGULUM(Tri)ㅣ고대 그리스시대부터 있었던 전통있는 별자리로 그리스문자인 델타(Δ)와 닮아서 델타자리라고도 불렸다. 나일강 ... ...
궁궐의 우리 나무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오랫동안 인간의 역사를 지켜보아온 나무살이를 듣고 싶고, 한그루 한그루의 나무마다
이름
을 붙여주고 싶은” 저자의 나무에 대한 애정과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 그리고 과학적 지식이 결합돼 나무의 숨은 이야기들을 아낌없이 들려주고 있기 때문이다.책을 읽다보면 어느 결인가 “오자마자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생리·의학 - 특정 질병에 특정 치료법, 최초이자 최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졸업한 사람이라면 잊을 수 없는
이름
들이 태반이다. 물론 가끔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이름
도 있지만 말이다.베링, 서양 근대의학 수준 높여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업적 모두가 우열을 가릴 수 없을 만큼 훌륭한 업적이며 새로운 분야나 영역을 개척한 업적이다. 이 때문에 어찌어찌 골라낸 베스트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날아가는 모양을 하고 있다 해 붙여졌다.이 플라잉 버트레스 위에는 피너클이라는
이름
의 소첨탑이 올려지는데, 이 또한 장식적 의미도 있지만 구조적으로도 필수적인 장치다. 진창에 빠진 차를 끌어내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잔뜩 올라타 마찰력을 키워야 하듯이 플라잉 버트레스가 추력에 의해 ... ...
휴대폰에 침투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바이러스가 처음 일반인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 브레인(Brain)이라는
이름
의 바이러스가 나타나면서부터다. 브레인과 같은 초기의 1세대 바이러스는 단순했다. 예를 들어 감염된 파일을 실행하면 작은 탁구공 모양의 점이 화면을 돌아다니는 핑퐁 바이러스가 있었다.2세대 바이러스는 ... ...
이전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