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치지 않으려면 탄수화물 많이 섭취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육류와 같이 단백질이 많은 저당식으로 한다. 즉 글리코겐을 체내로부터 빼내는 것이다.
이후
레이스 3일 전부터 운동량을 줄이고 탄수화물을 증가시키는 고당질의 식사로 바꾼다. 이런 결과 체내는 고갈된 글리코겐을 확보하려는 힘이 발동해 보통보다 많은 글리코겐을 체내에 축적할 수 있게 된다 ... ...
페이어아벤트의 '방법에의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라카토스는 강의 중간 중간에 수많은 질문을 퍼붓곤 했으며, 이들 두사람간의 논쟁은
이후
에도 계속됐다.페이어아벤트는 합리주의자의 입장을 공격하고, 라카토스는 그것에 반격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토론 결과를 책으로 엮는 일을 계획했다.하지만 라카토스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이 책에서는 ... ...
3. 신의 결정 거부하는 성전환수술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최근에는 수술을 시행하는 추세다. 외국의 경우 트랜스젠더에 대한 치료는 1970년대
이후
성전환수술기법이 급성장해 수술 자체의 성공률뿐 아니라 사회 적응의 결과도 좋아졌다는 보고들이 최근에 많이 나오고 있다.까다로운 성전환수술 조건그러나 성전환수술은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초래하므로 ... ...
불가사의한 별 미라가 밝아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특성을 잘 모르고 4등급의 평범한 별로 여겨 고래자리 오미크론별로 성도에 기입했다.그
이후
놀랍게도 이 별은 어떤 때는 사라져 보이지 않다가 몇달이 지난 후 다시 나타나 밝게 빛난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별의 밝기는 항상 일정하며 불변한 것으로만 알았던 당시 사람들에게는 하나의 ... ...
2. 전기 통하는 플라스틱의 비밀 2010년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등장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90년대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PPV라는 전도성 고분자가 빛을 잘 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후
로 발광 고분자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해졌다. 최근 각광받는 발광 고분자로는 PF(폴리플루오렌)가 있다. PF가 주목받는 이유는 디스플레이로 만들었을 때 실용성이 있을 만큼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사용 ... ...
왜 과학자는 과거 기후를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얼음, 나무의 나이테, 산호화석, 호수 등에 퇴적된 점토 등을 통해 얻는다. 한편 1950년대
이후
로 등장한 산소동위원소측정법은 과거의 온도 정보도 알 수 있기 때문에 현재 가장 흔하게 쓰이고 있다.이같은 방법을 통해 고기후학자가 밝혀낸 과거의기후는 어떠했을까. 지난 1천년간 북반구의 ... ...
2. 성호르몬 요법 어디까지 효과보나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나며 체모가 증가하고 골격과 근육이 남성화될 것이다.사춘기
이후
는 어떨까. 사춘기
이후
여성에게 테스토스테론을 주사하면 먼저 여성의 생리현상에 이상이 초래돼 배란 장애가 있게 되고 심하면 불임에 이르기도 한다. 또 근육이 발달하고 목소리가 굵어지며 피부가 거칠어지면서 체모가 ... ...
어린아기 눈이 푸른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변색이 심해진다.예를 들어 잦은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나 유행성 결막염 등을 앓게 된
이후
매우 건조한 상태에서 콘택트렌즈를 자주 사용하면 눈은 엄청난 자극을 받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결막 등에서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돼 칼슘이나 지방, 콜레스테롤과 같은 분비물의 배출이 더욱 왕성해진다. ... ...
3D 애니메이션이 탄생시킨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슈렉을 성공적으로 완성한 것이다.복제인간을 넘어선 인간 창조복제양 돌리의 탄생
이후
아직까지 과학계에서는 복제인간 공방이 한창이다. 복제인간의 찬반 논쟁은 지난 1970년대 말 시험관 아기 탄생시절과 비슷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영화계에서도 예외일 수 없다. 바로 ‘파이널 환타지’의 ... ...
전자 및 광학재료실험실 포스트 D램 반도체 시대 연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수 있는 물질이라 생각하면 된다.1921년 베라섹이 로셀염이라는 강유전체를 발견한
이후
현재까지 10여개의 강유전체 물질이 선보였다. 이런 강유전체를 기존의 실리콘 대신 메모리소자로 사용하면 새로운 형태의 반도체 메모리가 탄생한다. 이것이 바로 포스트 D램 시대를 이끌 것으로 기대되는 F램 ... ...
이전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