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스페셜
"
발표
"(으)로 총 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속의 기술]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KOITA
l
2014.08.08
모두 비슷 비슷했다는 얘기다. 형태도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다. ‘네이처’에
발표
된 연구에 따르면 고대 로마의 여성들도 현대여성에 못지않은 품질의 화장품을 사용했다. 지난해 여름 런던 부근의 한 고대 로마 사원 유적지에서 발견된 서기 150년경 만든 크림은 통의 뚜껑을 열면 크림을 떠내던 ... ...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을 바꾼다!"
IBS
l
2014.08.06
유전체 교정에 사용되기 시작했고, 2011년 말에 개선된 2세대 유전자가위인 탈렌(TALEN)이
발표
됐으며, 2013년 초에는 김 단장 연구팀과 미국 연구진들이 각각 독자적으로 3세대 유전자가위인 RGEN을 이용한 유전체교정 기법을 보고했다. 김 단장은 "1세대 유전자가위는 크기가 작아 유전자치료를 할 때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사람들은 맥코믹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훗날 사실로 드러난다. 맥코믹은 1983년
발표
한 논문에서 게놈분석을 통해 자이르의 에볼라 바이러스와 수단의 에볼라 바이러스는 서로 다른 유형임을 밝혔다. 사실 수단에서의 에볼라 발생 시기는 자이르보다 두 달 가량 빨랐던 것으로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것 같다. 그런데 최근 정부가 간질 대신 ‘뇌전증’이라는 용어를 쓰기로 했다는
발표
를 했다. 간질이 잘못된 표현은 아니지만 워낙 사회적인 편견이 심해 불가피한 일이라고. 글 앞에 인용한 문구는 캐나다 신경과학자 라젠드라 케일이 1997년 학술지 ‘영국의학저널’에 쓴 사설에 나오는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①] 우주로부터의 선물, 태양광
동아사이언스
l
2014.07.22
무색의 투명한 태양전지를 터치패드 스크린 겸용 충전지로 활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발표
하기도 했다. 투명 태양전지는 기존의 빛을 흡수해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의 기본원리를 고려했을 때 모순적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태양전지는 우리가 사물을 볼 수 있게 해 주는 ... ...
수영장에서 ‘쉬~’ 하지 마세요
2014.07.21
교수팀은 2010년 오줌 속 요소가 염소와 반응해 주로 삼염화아민을 만든다는 사실을
발표
했다. 블래츨리 교수는 이번에 중국농대 리 징 교수팀과 함께 오줌 속 요산이 염소와 반응할 때 주로 염화시안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밝혔다. 요산의 분자구조. 퓨린의 최종 대사산물인 요산은 오줌을 통해 ... ...
촉매 하에 레고처럼 결합시켜 신약 개발한다
IBS
l
2014.07.09
구조를 가진 화합물을 설계하고 도출했다. 이 연구성과는 2013년 미국화학회지(JACS)에
발표
됐다. 홍 교수는 "간단한 출발 물질로부터 효과적이고 선택적인 촉매시스템을 이용해 탄소-수소 결합을 활성화시키고, 일련의 여러 화학반응들을 단일 촉매조건 하에 연속적으로 일어나도록 해, 설계된 복잡한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이런 사실을 깨달은 건 1970년으로 이듬해 학술지 ‘응용 미생물학’에 논문을
발표
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따라서 포스트정보화 시대에 사는 필자는 무려 44년이 지나 그 사실을 알게 된 셈이다!). ‘요리를 욕망하다’는 저자가 각 유형의 요리를 직접 배우면서 체험하는 과정을 기록하며 ... ...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의 시계
IBS
l
2014.07.07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인자는 노화와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2011년 KAIST에서
발표
하여 네이처에 게재된 논문에서 다룬 Twenty-four 유전자 메커니즘의 모식도. Twenty-four는 초파리의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유전인자로 알려졌다 - KAIST 제공 그래서 한때 기대를 모으던 '단일한 노화 유전자'는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 수준의 이야기 같지만, 2001년 ‘런던왕립학회지B’에
발표
된 논문의 내용이다. 한편 숫자 감각도 나름 괜찮다. 예전에는 수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이 사람에 고유한 특성이라고 생각했지만 그 뒤 원숭이나 닭 같은 동물에서도 그런 능력이 있다는 사실이 ... ...
이전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