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는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본다
과학동아
l
199103
여러 조각으로 잘려있는 장면에도 그들은 무심한 눈초리를 던질 뿐이었다.다마지오
박사
에 따르면 이 다섯환자는 내부의 잠재의식에 이르는 길을 잃었기 때문에, 슬픔이나 고통을 무의식상태에서 감지해 두뇌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없다고 한다. 토론을 할 때는 말하는 과정에서 무의식적인 신호를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03
박사
과정(동국대 생물학과)에서 거미를 연구하고 있는 예비 학자다. 거미학자인 김주필
박사
(대영 EMI학원장, 서울대 강사)가 소장이며 재야 거미학자인 남궁준씨가 전문위원으로 있는 거미연구소(84년 9월 설립)에서 일하며 거미연구의 대를 잇고 있다. 학부때는 생화학을 전공했지만 거미 연구소에서 ... ...
「냉동동물」이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03
동물은 몸을 움직이지도 않을 뿐더러 심장도 작동치 않고 혈액순환도 정지한다. 케네스
박사
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신경활동도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고 한다. 얼음결정이 피하나 근육 사이에도 스며들어가 있으며 세포까지도 얼려 놓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동물은 '기관의 동결보존 방식' ... ...
현대판 「지킬
박사
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03
알아냈다.그러나 질량을 비롯해 더 근본적인 정체는 아직도 오리무중이다. 새삼 파울리
박사
의 탄식이 생각난다. "질문은 많으나 대답은 없다." (Viele Fragen ! Keine Antworten !). 에너지보존의 법칙(law of conservation of energy)에너지가 그 형태를 바꾸거나 물체에서 물체로 옮기거나 해도 그 전체 양 ...
PARTⅣ 국내연구현황 테라와트급 고출력레이저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02
권오대(레이저반도체가공)교수 등이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원자력연구소의 이종민
박사
팀은 레이저응용분야로 최근 각광받고있는 핵연료농축과 동위원소 분리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 레이저에 관한 해외한인과학자로는 미국 마이애미대학의 김진중교수가 구리증기레이저의 권위자로 ... ...
동물체 내에 유전자 주입
과학동아
l
199102
투입하거나 유전병을 치료하는데 크게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장인 스테판 존스톤
박사
는 "이 기술은 유전자요법뿐만 아니라 다른 의료분야에도 폭넓게 응용될 것"이라고 말한다.유전자요법으로 현재 가장 널리 행해지는 방법은 생체의 세포를 일부 추출하여 이속에 작은 침(유전자총)으로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02
최대고민'만병의 근원'으로 알려진 변비는 왜 생기는 것일까.서울중앙병원 이영상
박사
(내과)는 "변비는 오래도록 체질 때문에 발병된다고 생각해 왔으나 최근들어 장의 운동능력 상실에 기인한다는 학설이 제기됐다"고 말했다.변비의 원인은 식생활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식사량이나 수분섭취가 ... ...
소련 과학기술계 탐방기-자영협동체 결성, 연구성과 분배요구
과학동아
l
199102
치르고 연구논문을 작성한 후 마치는데, 이 때 받는 학위는 Candidate of Science. 다른 나라의
박사
학위에 해당된다. Doctor of Science도 있는데 이는 주로 학문의 절정기에 거대한 논문을 작성한 후 받는 학위로서 교수가 되는데는 필수적인 과정이다.의대학생들도 연구에 종사할 수 있는데, 경쟁이 몹시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02
소위 Big Shot (유명인사)들 보다는 젊고 열성적이며 과학활동이 한창 절정기에 올라,
박사
과정의 학생들에게도 시간을 할애할 용의가 있는 교수들을 선택하는 것이 훨씬 현명하다고 생각한다.현재 필자가 몸담고있는 예일대학은 1701년도에 창립돼 미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학교중의 ... ...
4. 화학전
과학동아
l
199102
농약성분인 유기불소화합물에서 추출한 타분이라는 물질인데, 1936년 독일의 슈뢰더
박사
가 개발했다. 그후 1942년까지 독성이 더 강한 사린 소만 등이 선보였지만, 2차대전중 전쟁터에 살포되지는 않았다. 연합국의 대량보복을 두려워 한 독일이 사용을 자제한 것.2차대전 후에는 타분 사린 소만 등 ... ...
이전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