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점"(으)로 총 5,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체험을 마치고 내게 또 하나의 도전기사 l20140227
- 별을 가슴에 키우고 싶으셔서요. 천문대장님을 이자리에 있게 한것은 알퐁스 도데의 과 칼 세이건의 이라고 하는 말씀을 듣고, 제가 커서 훌륭한 과학동화 작가가 되어서 더 많은 아이들이 꿈을 꾸게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앞으로 열심히 글쓰고 체험해서 멋진 어린이 기자단이 되고 싶어요 ... ...
- 태양에 대해서 낮에 떠있는 태양은 얼마나 크고, 지구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알고포스팅 l20140226
- 2가지가 있어. 1번째는 투영법 이라고 하는 방법을 써. 투영법은 망원경의 '접안 렌즈'에 조금 떨어져서 하얀 판을 비추면 태양과 흑점 들이 보일거야. 2번째는 망원경의 '대물렌즈' 끝 부분에 필터를 끼워 보는 방법이야. 아래 사진은 필터를 끼워 본 사진이야. 책에서 본 태양과 다르게 보이는것 같다고? 그 사진은 'H알파 필터' 라고 하는 고성 ...
- [핫 토픽] 2014년엔 100점! 새로운 어과동 부록어린이과학동아 l20131213
- 어린이과학동아 부록이 새롭게 바뀝니다~! 새로운 만화 새로운 코너, 어려운 양자역학, 만화로 쉽고 재미있게! 다운이 가족의생생 양자역학, 생생한 사진으로 보는 과학...[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24호(2013년12월15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뜨거운 여름방학 특별미션!어린이과학동아 l20130913
- 지구사랑탐사대의 가장 큰 장점은 혼자서 자유롭게 탐사하면서도 내가 탐사한 결과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다는 거예요. 궁금한 점이 있으면 장이권 교수님께 직접 여쭤 볼 수도 있고, 같은 지역 탐사대원들과 토론을 할 수도 있어요.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바로 지구사랑탐사대 안에 다양한 소통 공간이 있기 때문이에요. ...
- 태블릿 PC VS 노트북어린이과학동아 l20130814
- 헷갈려요~! 저희 아빠는 컴퓨터를 두 개나 가지고 다니세요. 하나는 태블릿PC고 다른 하나는 노트북이래요. 하나만 있으면 되지 않느냐고 물었더니, 둘 다 꼭 필요하시대요. 둘의 다른 점이 무엇인가요?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16호(2013년8월15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개나리 VS 영춘화어린이과학동아 l20130228
- 개나리는 함경도를 제외한 한반도 어디서나 자라나는 우리나라 특산종이에요. 물푸레나무 과에 속하는 식물로, 3~4월에 샛노란 꽃이 먼저 피어나고 그 후에 가장자리가 깔쭉깔쭉한 잎이 서로 마주보며 돋아나지요. 꽃잎이 네 갈래로 갈라져 길쭉하게 뻗은 점이 특징이랍니다.*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5호(2013년3월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사슴 VS 순록어린이과학동아 l20121212
- 소목 사슴과에 속하는 동물을 통틀어 사슴이라고 불러요. 마치 반달가슴곰, 북극곰, 흑곰, 불곰을 모두 곰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말이죠.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몸에 흰점이 있는 사슴의 종 이름은 ‘대륙사슴’이에요.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24호(2012년12월15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소행성에 우주 기지를!어린이과학동아 l20110811
- 우주 기지 건설 가능성이 높은 소행성이 발견되어 화제예요. 바로 지구에서 약 8,000만㎞ 떨어진 지점에서 태양을 공전하고 있는 트로이소행성 ‘2010 TK7’이 그 주인공이에요. 트로이소행성이란, 목성 궤도 위의 라그랑주점에 위치한 채 태양을 공전하고 있는 소행성 무리를 말해요. ...
- 아다 요나트 박사와 과학 꿈나무들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100531
- 박사님은 이스라엘의 과학자로, 리보솜의 미세한 구조를 밝혀내 2009년 노벨화학상을 받으셨답니다. 오늘 이 행사는 아다 요나트 박사님께 궁금한 점을 질문한 친구들이 초청돼, 직접 박사님께 설명을 듣는 자리예요. 박사님은 어떤 이야기를 들려 주실까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귀 기울여 보세요 ... ...
- 판타스틱! 2009 첨단 농업 쇼(2)어린이과학동아 l20091013
- 있어요.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한 점은 화학전지와 같지만, 닫힌 공간에서 반응을 하는 화학 전지와 달리 계속 연료를 공급해 준다는 점이 달라요. 잘 알려진 것으로는 수소-산소 연료전지가 있고 최근에는 미생물을 활용한 연료전지가 활발하게 연구 중에 있답니다. 육묘 {tIMG_c16} 번식용으로 이용되는 어린 모를 못자리에서 기르는 ...
이전5425435445455465475485495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