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7,094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에 대한민국 과학기지를 세우다
과학동아
l
199404
남극탐험대를 파견하는 등 영역을 넓혀왔다.사진은 필자가 해양연구소장으로 재직하던
지난
88년 2월 17일 대한민국 남극 과학기지인 세종기지 준공식에서 개막연설을 하고 있는 장면이다. 이날을 기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18번째로 남극 상주과학기지 보유국이 된 것이다.필자는 해외 ... ...
인공효소 개발로 한국 과학상 대상 받은 서울대 화학과 서정헌 교수
과학동아
l
199404
있다. 국내에서 인공효소 개발에 매진하는 서울대 화학과 서정헌 교수를 만나보았다.
지난
해 12월 제4회 한국과학상 대상을 수상한 서울대 화학과 서정헌(徐正憲·45) 교수의 연구분야는 인공효소다. 그는 효소중 금속이 필수적으로 참여하는 금속효소를 모방한 인공촉매를 만드는 기본개념을 정립한 ... ...
서해안철새도래지 보호관리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403
대처할까. 서해안 일대 철새도래지를 찾았다.제14회 전국과학교사 자연생태계 탐사가
지난
1월 20일부터 24일까지 서해안 철새도래지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이번 탐사는 서해안 일대에 찾아드는 겨울철새를 조사함으로써 개발과 보존의 상관관계를 살피는데 주안점이 맞춰졌다.서해안 일대는 ... ...
지진관측시설 이용, 핵실험 감시
과학동아
l
199403
많은 지진관측소의 데이터에 손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이들은 밝혔다.
지난
수십년간 미국 및 관련국가들의 핵실험감시는 옛소련영토에 집중돼왔다. 그 목적은 1974년 체결한 핵실험제한조약(Threshold Ban Treaty)에 따른 무게 1백50킬로t을 초과하는 핵무기 실험금지안에 대한 소련의 ... ...
43만 가구 일시에 정전시킨 '섬락현상'
과학동아
l
199403
서해안보다 더 심했던 동해안에서는 염무로 인한 정전피해가 없었고 서해안에서도
지난
해 일반애자를 내염애자나 현수 애자로 교체한 서산지역에서는 이번에 정전 사태가 없었다.이번의 광역정전사고에 대해 전기 전문가들은 전력선을 아예 땅에 묻거나 염해에 견디는 특수 애자를 개발하는 일 등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03
위탁 재배 시험결과에서도 관행(慣行) 재배구역에 비해 5%의 증수효과가 있었다. 필자가
지난
92-93년 EM 발효재를 사용한 시험에서도 전년도보다 더 많이 수확할 수 있었다. 축사 악취제거에도 이용산소가 있으면 활동이 둔해져서 없는 편이 좋은 미생물을 통성혐기성균(通性嫌氣性菌), 조금은 있는 ... ...
지구과학- 흑점수는 11.2년 주기로 증감
과학동아
l
199403
과거 지구 기후를 잘 기록한 기상 자료인 것이다(사진5).이와 같은 연구 결과 적어도
지난
2백70년 동안에 22년 주기의 한발이 나타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것은 흑점 주기인 11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그러나 아직 태양의 흑점수와 한발 사이에는 복잡하고 미묘한 관계가 있다는 ... ...
고속정찰기를 우주과학연구에 이용
과학동아
l
199403
3e는 올해 7월20일경 분열한 혜성핵의 핵심부분이 목성에 충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또
지난
8월 12일에는 페르세우스 자리의 유성우의 관측을 행했다.JPL과 ARC에서는 프랑스가 마하2.2로 비행하는 콩코드기에 태양망원경(ST)을 탑재하여 지상의 4-5배 시간을 연속하여 개기일식을 관측했듯, 지구에 ...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403
서방최대이각을 이루며 새벽의 동쪽 하늘에 나타난다. 특히 이때의 이각이 27.5도로
지난
달보다 약 10도 가량 클 뿐만 아니라 새벽하늘이라는 이점까지 겹쳐 관측이 훨씬 유리할 것이다.광도는 0.2등급으로 마차부자리의 알파성인 카펠라 정도의 밝기를 갖는다. 위치는 물병자리 요타(i) 별 근처로 ...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
과학동아
l
199403
협력에 따라 일본에 기술 이전돼 일본의 N1로켓의 모체가 되기도 했다. N1은 N2, H1을 거쳐
지난
2월4일 발사된 H2로켓으로 발전했으니 일본로켓의 원조는 델타인 셈이다.미국 공군의 아틀라스는 제1세대 ICBM으로 유명하다. 미사일의 고전인 셈이다. 위성발사체로서의 아틀라스도 1958년에 등장했으니 35년 ... ...
이전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