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에 가장 가까운 나라 티베트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완성되어 두 나라의 교류는 새로운 단계에 들어갔다. 잔무는 셰카르에서 자동차로 하루
거리
다. 건조하고 벌거벗은 고원에서 3천m를 내려간 녹색의 계곡에 있다. 농도 짙은 공기와 후덥지근한 온기. 빨간 석남화와 흰 난꽃이 있는 곳. 하나의 다리가 두나라를 이어 놓고있다. 다리 이름은 우의(友誼)의 ... ...
제3의 산업혁명이 불붙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높아지고 인력절감에 의해 원가가 절감되고 품질이 향상 될 수 있다는 착각과는
거리
가 멀다. 경영주는 자동화를 인건비 절감과 비교하는 차원은 넘어서야 한다. 또한 자동화를 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시스팀적 사고이다. 부분능력만 키워봤자 전체 생산성은 향상되지 않는다. 이는 단위 ... ...
유권자 성향분석에서 득표전략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처리해준다는 것은 삼척동자가 다아는 사실. 그렇지만 우리의 투개표 현실은 이와는
거리
가 멀다. TV화면에 비치는 개표소는 조금은 어수선한 분위기다. 투표함에서 책상 위에 쏟아부은 투표용지, 이를 일일히 셈하여 1백장 단위로 묶고 그것을 칠판 위에 적는 모습. 이 결과를 중앙개표소에 전화로 ... ...
1천여점의 유물도 찾아냈어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여객기의 항로, 미사일에 맞았을 시간, 피격순간에서 바다에 떨어질때까지의 시간과
거리
등을 면밀히 검토했으며 그런뒤 작업개시 이틀만에 비행기 '칵피트'를 찾아냈읍니다. 비행기록을 모두 수록한 '블랙박스'도 찾아내 이탈리아정부에 주었읍니다. 이 비행기의 추락에 관련된 내막은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한국 측으로서도 보다 절실한 두통
거리
가 아닐수가 없다. 한국은 중공의 직격사정
거리
에 놓여지게 되기 때문이다. 우리들은 이에 맞서는 과학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하루라도 빨리 그네들에게 보여줘야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급선무가, 우리나라도 이 우주과학·우주개발사업에 보다 더 ... ...
한국과학기술대학 과학영재의 산실로 뿌리내리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예상된다. 이외에도 강의실 교수연구실 도서관 행정실 기숙사 등 대학 전체를 LAN(근
거리
지역통신망)으로 연결해 전산시스팀을 지원해주는 전자계산센터, 교수와 학생들의 연구나 수업 등 학습활동에 관련된 매체자료 및 장비를 연구 지원해주는 교육매체센터 등은 학습지원 시스팀으로 큰 역할을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말한다. 따라서 수심이 깊어지면 우선 그런 오리류들은 취식이 불가능하게 된다. 가까운
거리
에 논이나 밭 또는 유휴초지 등이 있어야만 벼나 그 밖의 낟알 또는 잡초 씨나 뿌리와 구근(전분) 등을 취식할 수 있으며 하천에서는 수면에서 일시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뿐, 잠은 뭍에서 자는 것이다. ... ...
CAD/CAM의 세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기술 개발② 보다 많은수의 컬러를 동시에 디스플레이③ LAN(근
거리
지역 통신망)의 일부로서 마이크로컴퓨터가 인텔리젠트 워크스테이션의 사용이 증대④ 컬러하드카피의 색상이 다양해지고 가격이 떨어진다.⑤ 자동 반자동 디지타이저가 상용화 될 것이다. ■ 적용분야① ... ...
영국-프랑스를 해저로 연결 20세기의 대역사 유로터널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것이다.해저터널의 90%는 무른 초크층유로터널의 위치는 영국과 프랑스를 잇는 최단
거리
로 영국의 도버해안과 프랑스의 상가트해안. 해저부의 길이는 약 37km이지만 터미널까지 합쳐 총연장 50km의 터널이 뚫리게 돼있다. 터널이 뚫릴 해저지층은 약 90%가 무른 초크층. 7천만년전에 형성된 20~35m두께의 ... ...
어떻게 감지하고 어떻게 적응하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지구의 나이는 대략 45억년이며, 이 기간동안 지구상의 대기 물 암석들은 많은 변화를 거쳐서 서서히 이루어졌다. 특히 대기중의 산소는 대략 6 억년전부터 서식하기 시작한 식물들에 의하여 만들어 졌다.우리는 제4빙하기가 끝난 후 약 1만 2천년이 지난 시점에 살고 있다. 빙하기가 끝나고 6천년은 ... ...
이전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