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고기는 ‘이온’을 호흡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성장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머리와 꼬리 부분의 산소와 이온 농도에 미묘한 차이를
발견
했다. 칸막이 2개로 구획을 나눈 수조에 송어 배아를 넣고 한쪽에는 머리가, 반대쪽에는 꼬리가 나오게 한 뒤 15일 후 이온 농도를 측정한 결과 머리 쪽에서 이온 교환이 더 많이 일어난 것. 아가미가 있는 머리 ...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고무적인 사실은 10종의 카카오 가운데 하나가 서리꼬투리썩음병이 발생한 지역에서
발견
됐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이 나무의 유전자를 분석하면 서리꼬투리썩음병을 이겨낸 유전인자를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과학자들은 최근에는 새로운 종의 카카오 나무를 찾는 일에 관심을 갖기 ... ...
분자전자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물질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1970년대에 전도성 고분자가
발견
되면서 분자전자재료공학의 문이 열렸고, 이후 눈부시게 발전해 현재에 이르렀다. 현대인의 삶에서 떼놓을 수 없는 디스플레이, 통신, 메모리 분야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어 발전 가능성이 매우 큰 공학 ... ...
아름다움의 공식, 황금비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생활 속에서 황금비로 이뤄진 것을 무수히 찾을 수 있다. 세심한 관찰을 통해 황금비를
발견
해 보자~.상징하는 도형별 모양의 도형은 오래 전부터 다양한 상징물로 쓰였다. 지금도 여러나라의 국기에서 별 모양의 문양을 찾아볼 수 있다. 모양 또한 뾰족한 부분이 5개에서부터 많게는 12개까지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한 한지를 넣는 경우도 있었다. 출토된 솜옷에서 가끔씩 한문이 가득 적힌 종이가
발견
되는 이유다.모자에 구멍을 뚫어 일석삼조 효과1886년 한국 최초의 근대식 공립교육 기관 ‘육영공원’의 교사로 부임했던 선 교사 조지 길모어는 자신의 저서 ‘서 울풍물지(1892년)’에서 “조선은 세계 적으로 ... ...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익룡 화석까지 중생대 한국에서 살았던 생물의 다양한 흔적들을 볼 수 있다. 국내에서
발견
된 공룡 화석이 생각보다 많다는 점과 지역에 따라 다르게 생긴 화석들의 모습이 놀랍다.내추럴 셀렉션데이브 프리드먼 지음 | 김윤택, 김유진 옮김 | 지성사 | 631쪽 | 1만 7800원이 책은 미국 전 지역에서 ‘200 ... ...
실명도 줄기세포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대안이지요.”정 사장은 동물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결과 종양 같은 부작용이 전혀
발견
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도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했다. 임상 허가가 나올 경우 희망자 가운데 12명을 뽑아 1/2상 임상시험 에 들어갈 예정이다.국내 성체줄기세포 임상시험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대한 정밀한 지도를 그린 적이 없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좀 더 가까운 곳에서 암흑물질이
발견
된다면 실현 가능성은 있다.그렇다고 해도 문제가 모두 사라지는 건 아니다. 우주선에서 암흑물질이 새어나가는 것도 골칫거리다. 암흑물질은 보통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 우리가 아는 물질로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발굴됐다. 바로 1966년에 경주 불국사 석가탑을 보수하기 위해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견
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다.일명 다라니경이라 불리는 이 ‘닥종이 두루마리’는 신라 경덕왕 시대인 751년에 만들어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이자 가장 오래된 종이다. 우리 ... ...
“ 위이잉~!” 짝을 부르는 모기의 날갯짓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깁슨 연구팀은 날갯짓을 할 때 서로 비슷한 주파수를 내는 모기끼리 짝짓기 한다는 것을
발견
했답니다. 게다가 날갯짓 소리의 주파수가 다르면 서로 날갯짓을 조절하여 주파수를 맞추며 짝을 만난대요. 이렇듯 두 모기가 주파수를 적절히 조절하면 인간에게 완벽한 화음처럼 들리지요. 하지만 서로 ... ...
이전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