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혜성충돌, 지름 3천㎞ 버섯구름의 대장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이온층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광화학반응을 공동연구해온 김상준 교수는 "행성 천문
학자
수백명의 모든 관측자료가 종합되면 지구에 외계물체가 충돌했을 때 생기는 여러가지 현상들을 예견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것 "이라며 "이 자료는 6천5백만년전 소행성이나 혜성이 지구와 충돌해 공룡을 ... ...
밤하늘이 어두운 까닭은 은하의 나이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후퇴 하나 때문에 무한대의 밝기가 될 밤하늘이 현실처럼 어두운 것일까? 현대의 천문
학자
들은 지금까지 관측된 자료와 알려진 이론을 바탕으로, 우주가 정지하고 있을 때와 팽창할 때의 밝기차를 계산해 냈다. 그런데 의외로 이 값은 우주의 팽창이 밤하늘의 밝기를 두배 가량 더 어둡게 할 ... ...
바다 온도 음파측정 돌연 중단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이 논쟁이 어떻게 끝을 맺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지구온난화의 원인을 밝히려는 기후
학자
들의 입장과 멸종위기의 해양포유류를 지키려는 동물보호주의자의 입장을 절충할 수 있는 획기적 방안이 제시되지 않는 한, 실험실시는 연기될 수밖에 없을 듯하다 ... ...
미래를 여는 복잡성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연구자금을 끌어들이기 위해 사용되는 유행어라고 격하시키고 있다. 어쨌든 미국의 물리
학자
인 하인즈 페이겔스가 사고사 직전에 펴낸 저서 '이성의 꿈'(The Dreams of Reason 1988년)에서 복잡성 과학의 중요성을 역설한 다음 대목을 음미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나는 복잡성 과학을 정복하여 그 ... ...
아시아 어린이 언어체계 때문에 수학 잘 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체계에 기인하는 것이라는 연구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산 호세주립대학의 교육 심리
학자
인 아이렌 미우라 교수에 따르면 수 개념은 한국어나 중국어 일본어와 같은 동양 언어에서 더 잘 이해된다는 것.미우라 교수를 비롯한 일군의 연구자들은 미국 프랑스, 스웨덴 출신의 어린이들과 ... ...
소행성 충돌에너지, 원시지구 생물체 살렸다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일어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천문
학자
들의 의견에 반해 대부분의 지질
학자
들은 강력한 온실효과가 젊은 행성을 따뜻하게 유지하도록 했으며 이것이 결과적으로 바다를 얼지 않도록 한 것으로 믿고 있다.이같은 가정을 따른 캘리포니아 스크립스 해양학 연구소의 제프 바다 박사는 ... ...
2. 두 발로 서고 석기 쓰며 사람형태로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화석의 모습은 대단히 다르다. 정말로 그들이 서로 같은 종이라고 여겼을까?"다른 고생물
학자
들은 조핸슨박사팀이 제시하는 해석을 받아들이고 있다. 아일로박사는 "이제 아파렌시스 화석들에 여러 종이 포함돼 있을 것이라는 주장으로 되돌아가려면 강력한 증거를 들이대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 ...
3. '지구의 허파' 열대우림 파괴는 어떤 핵전쟁보다 끔찍한 일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생명을 가진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인지도 모른다.러브록의 가이아 이론과 다른 과
학자
들이 이해하는 가이아 이론, 환경보호주의자들이 이해하는 가이아 이론과 일반대중들이 이해하는 가이아 이론이 모두 조금씩 편차를 가지는 것이다. 이 같은 편차는 향후 검증과 실천과정을 통해 좁혀져야 할 ... ...
자동수질측정시스템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등을 지참해야 하므로 흡사 타잔 영화에서 짐꾸러미를 메고 밀림 속을 진군하는 고고
학자
들을 연상하게 한다.다른 점이 있다면 현장으로 떠날 때보다는 돌아올 때 더 짐이 무거워진다는 것이다. 물로 가득찬 무거운 짐꾸러미를 들고 실험실로 되돌아 와야하기 때문이다.자동수질측정체제의 가장 큰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값은 18만 스타디아로 에라토스테네스의 값보다 훨씬 작았다. 그러나 당대의 유명한 천문
학자
톨레미(85—165 A.D.)가 이 값을 채택했기 때문에 중세에 이르기까지 지구 크기는 18만 스타디아로 믿어져 내려왔다.톨레미는 고대 최후의 중요한 지리학 서적을 만들었는데, 중요 도시나 연안의 여러 지점의 ... ...
이전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