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48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잔해가 지구에 떨어진 게 운석(meteorite)이다. 1958년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필립 위아트
교수
는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퉁구스카 사건이 반물질 유성체가 물질로 이뤄진 지구 대기에 부딪치면서 일어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즉 우주 저편 어디선가 반물질로 이뤄진 은하에서 날아온 반물질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올리지는 않았지만 바운
교수
와 함께 하젠욀 연구를 한 미국 프린스턴대 토스 로스만
교수
는 “증명할 수는 없지만 아인슈타인은 확실히 알고 있었을 것이고 이것을 개선하려고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고실험의 설정을 봐도 뭔가 비슷함이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은 이 발견에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만든다면 “세균인가? 아니면 고세균/진핵생물인가?”가 돼야 한다는 말이다. 우즈
교수
는 논문에서 “원핵생물이냐 진핵생물이냐로 나누는 건 쓸모는 있지만 의미가 있지는 않다”는 말로 자신의 입장을 요약하고 있다. 전문가가 아니면 세균과 구분하지도 못할 고세균이 첫째고개에서 오히려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대신 할 수 있는 약물을 만드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미국 워싱턴대 디이비드 베이커
교수
팀은 지난 2011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헤마글루티닌의 줄기영역에서 항원이 되는 부분을 인식할 수 있는 단백질 조각을 디자인해 실제로 바이러스 표면에 달라붙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인공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갖고 있는데 각국의 이해가 엇갈려 제대로 진행할 수 있을지 걱정이다. 아무튼 헬름
교수
는 새로운 체제에서는 크게 세 가지 틀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탄소 생산이 아니라 소비를 기준으로 해야 하고 하루빨리 석탄에서 천연가스로 주에너지원을 바꿔야하고 새로운 에너지 기술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1956년 미국 보든칼리지 화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록펠러대의 에드워드 테이텀
교수
의 실험실에서 대학원 생활을 했다. 테이텀은 1958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샛킨은 항생제 액티노마이신 D가 전령RNA의 합성을 방해해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는데, 이를 이용해 숙주에서 바이러스 유전자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번째 단백질). 1967년 존슨은 옥스퍼드대로 옮긴 필립스
교수
팀에 합류했고 1990년 필립스
교수
뒤를 이었다. 존슨은 글리코겐 인산화효소를 비롯해 많은 단백질의 구조를 밝혔는데, 그녀는 단순히 단백질의 구조를 알아내는데 만족하지 않고 이를 통해 생화학 반응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콜쿤과 결혼했고 영국으로 건너가 1951년 옥스퍼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의 지도
교수
는 1964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결정학자 도로시 호지킨이다. 세이어는 이 무렵 중요한 논문을 여럿 발표했는데, 1952년에는 ‘원자성(atomicity)’이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세이어는 결정이 서로 떨어져 있는 작은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004년 SIR2 과발현과 칼로리 제한은 서로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가렌티
교수
는 이들의 논문에 노발대발했지만 2007년 SIRT1 유전자가 많이 발현되게 조작한 쥐가 노년의 건강은 더 나았지만 수명이 늘어나지 않았다는 자신의 연구팀 실험결과를 발표했다. 결국 2008년 학술지 ‘네이처 ... ...
창조경제와 벤처 생태계
KOITA
l
2013.04.25
우리나라는 1995년 벤처기업협회 설립 이후 2000년도까지 질풍노도와 같은 벤처1기 정책을 통하여 세계 역사 유래 없는 벤처발전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2000년말 불어 닥친 미국의 IT 버블 붕괴 직격탄을 맞아서 한국 벤처 산업도 오랜 침체기에 돌입하였다. 이제 “스마트와 소셜“ 혁명이라는 인류 역 ... ...
이전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