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뉴스
"
연구자
"(으)로 총 5,758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이처 최고편집장 “조작 논문은 자체 철회 가능하다”
과학동아
l
2014.04.09
줄기세포 연구 권위자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한스 쉘러 분자생의학 연구소장은 “
연구자
본인이 얼마나 많이 재현했나는 중요하지 않다”며 “다른 연구팀에서 재현이 돼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과학동아 이우상 기자 idol@donga.com 캠벨 ‘네이처’ 최고편집장 ... ...
논문 표절 막을 단 하나의 방법!
과학동아
l
2014.04.09
그쳐 전체의 3%만 조치를 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룩스 교수는 “이 결과만 가지고
연구자
전체 성향을 거론하긴 어렵겠지만, 문제점을 공론화하는 것이 논문 철회나 수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만큼은 분명해졌다”고 말했다. 동아일보DB 제공 이에 대해 학계 전문가들은 전 ... ...
아이폰 배터리 용량 1.5배 늘어난다면…
과학동아
l
2014.04.09
9일자에 발표했다. 그래핀은 전자 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고용량 전지를 만들려는
연구자
들이 예전부터 주목하던 물질이다. 그러나 전지 내에서 충전이나 방전이 일어나는 ‘전극 활물질’의 표면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그래핀을 밀착해서 코팅하는 데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완벽하게 설명된다는 것. 그런데 이렇게 작은 천체가 어떻게 고리를 갖게 됐을까.
연구자
들은 이에 대해 여러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토성처럼(역시 가설이다) 천체가 형성될 무렵 고리도 생겼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커리클로의 중력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좀 더 설득력 있는 가설은 ... ...
암세포 몇 개 있어야 암 될까?
과학동아
l
2014.04.06
같은 기간 각종 실험 장비와 실험동물, 슈퍼컴퓨터 등의 비용과 인건비가 크게 올라 실제
연구자
들은 50억 달러(약 5조2700억 원) 가량 손해보는 셈이라는 것이다. 올해 예산도 300억 달러(약 31조6400억 원)에 그쳤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정부 지원금이 아닌 민간단체나 개인 후원자의 연구비 ... ...
얼룩말 줄무늬, 왜 있는지 아시는 분~
과학동아
l
2014.04.04
빨아먹는 흡혈파리를 쫓는 데 필요할 수도 있다. 이 가운데 마지막 가설이 최근
연구자
들의 지지를 얻고 있다. 말파리, 사슴파리, 체체파리 등 말 피부에 기생해서 병을 옮기는 흡혈파리의 공격을 막기 위해 줄이 생겼다는 것이다. 수산네 아케슨 스웨덴 룬드대 교수팀은 2012년 흰말, ... ...
농산물 유전체 정보가 궁금하세요?
과학동아
l
2014.04.02
6품종의 유전체서열, 오믹스 등 유전체 정보가 964만여 건 담겨있다. 이를 활용하려는
연구자
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대량 정보 분석 프로그램 43종을 이용해 유전체 서열 조합이나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 기능 예측 등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벼 유전자 정보 전체를 얻으려면 3만5000개에 ... ...
日 이화학연구소 “STAP 세포 논문 조작됐다”
과학동아
l
2014.04.01
논란이 된 STAP 세포 종양(테라토마) 형성 이미지. 오보카타 연구주임의 박사학위 논문에 쓰인 이미지와 같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Nature 제공 만능 줄기세포로 불리는 ... 연구주임은 지난달 5일 추가로 상세한 프로토콜을 공개했지만 아직 재현에 성공했다는
연구자
는 나오지 않았다.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1
데니소바인에 더 가까운 미지의 인류라는 사실이 밝혀져 놀라움을 안겨줬다. 현재
연구자
들은 이 인류의 핵 게놈을 해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게놈 해독을 이끈 독일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의 스반테 패보 박사. - 막스플랑크연구소 제공 놀랍게도 ... ...
반도체 공장 '불산' 대체 천연물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3.31
대체물질이 아직 상용화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물질들을 쓸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국내
연구자
가 제1저자로 참여한 공동 연구팀이 독성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무독성 천연소재를 찾았다. 아주대 김성환 물리학과 교수는 미국 터프츠대 피오렌조 오메네토 의공학과 교수팀과 함께 ... ...
이전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