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뉴스
"
국립
"(으)로 총 6,219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하 150도가 됐는데도 물이 얼지 않는다고?
2015.09.23
개발한 고압력 냉각기술로 영하 150도에서도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물을 입증하고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22일자에 발표했다. 영하 150도에서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는 발견된 적이 있지만 실제로 실험을 통해 직접적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물은 화학적으로 ... ...
춘천 메르스 의심환자, 1·2차 검사 결과 모두 ‘음성’…메르스 확진 79일째 ‘無’
동아닷컴
l
2015.09.22
7.5~38.5도를 기록해 춘천시 보건소에 메르스 의심환자로 신고했다. 보건소는 곧바로 A씨를
국립
중앙의료원으로 이송해 음압병실에 격리 입원시켰다. A씨는 유럽으로 신혼여행을 가던 중 중동지역을 경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와 함께한 남편은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보건당국은 1, 2차 ... ...
알츠하이머병도 전염 될까?
2015.09.21
호르몬을 맞은 사람들은 지금도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영국
국립
신경학신경외과병원 세바스찬 브랜드너 박사팀은 시체 유래 인간성장호르몬 투여로 발병한 크로이츠펠트-야콥병으로 사망한 환자 여덟 명의 뇌조직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사실을 발견했다. 3 ... ...
노화 시계 되돌리는 새로운 메커니즘 찾았다
2015.09.20
파란색)의 끝에 달려 있는 텔로미어(노란색 점) - 미국
국립
보건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의 노화 시계를 되돌리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이준호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늙지 않고 끊임없이 분열하는 세포의 수수께끼를 풀었다고 18일 밝혔다. 세포는 분열이 계속될수록 염색체 ... ...
과학기술계에 ‘어벤져스’가 등장했다
2015.09.20
모습이다. 물결치는 천에 작은 칩의 모습을 그래프로 만들었다. 미국 로렌스버클리
국립
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LBNL) 연구팀은 해리포터 같은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이 신비의 망토를 개발했다. 이번에 연구팀이 만든 망토는 매우 얇아 쉽게 착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 ...
[사이언스 브리핑] ‘대한민국 별 축제’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5.09.18
교육하고, 달-지구의 거리를 체험하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
대구과학관 홈페이지(www.dnsm.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가비 무료. 053-670-6210 ■ 고등과학원은 24일 콘퍼런스홀에서 ‘천문학자 김담 탄생 600주년 기념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김담은 조선 초기 ... ...
내 아이 운동 적성 ‘스포츠 유전자’로 찾아볼까
2015.09.18
메달 7개를 획득한 선수 에로 멘티란타에게서 특별한 유전자 변이를 발견해 1993년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멘티란타는 ‘에포(EPOR)’라는 유전자에 생긴 변이 덕분에 적혈구 수가 일반인보다 많아 체내 산소 운반 능력이 25~50%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구력과 관련된 유전자도 ... ...
데니스 홍 UCLA 교수 “생물학자와 손잡고 동물근육 지닌 로봇 도전”
동아일보
l
2015.09.17
말했다. 홍 교수는 세계 최초로 시각장애인이 직접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를 개발해 미국
국립
과학재단(NSF)이 주는 ‘젊은 과학자 상’을 받은 과학자다. 전 세계 로봇 연구의 메카인 로멜라(RoMeLa) 연구소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16일 서울 중구 을지로 SK텔레콤 본사에서 열린 ‘인공지능 시대 기술 ... ...
DNA로 용의자 얼굴 그린다
2015.09.11
눈과 머리카락을 구분 짓는 SNP 10개를 확인했으며, 김욱 단국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이
국립
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민족 식별을 위한 DNA 분석 연구를 진행 중이다. 김 교수는 “다양한 인종이 섞여 있는 서양에 비해 한국인은 머리카락 색이나 피부색이 비슷해 DNA 표현형 분석이 쉽지 않다”면서도 ... ...
슈퍼 박테리아, 대변 이식으로 막는다
2015.09.09
Klebsiella pneumoniae) - 미국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항생제 남용 탓에 항생제가 듣지 않는 세균, 일명 ‘슈퍼 박테리아’가 등장하며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미국 연구진이 슈퍼박테리아 박멸에 건강한 사람의 대변을 이식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내놨다. 에릭 페이머 ... ...
이전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