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자"(으)로 총 8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고속인터넷과학동아 l199910
- 것이다. 모뎀은 모듈레이션(modulation, 변조)과 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 복조)을 앞 글자만 합친 말이다. 컴퓨터의 정보를 전화선을 통해서 전달해줄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바꾸어주고(변조), 들어오는 신호는 다시 컴퓨터가 알 수 있는 신호로 바꾸어주는(복조) 장치이다. 모뎀이 정보를 얼마나 빨리 ... ...
- 아홉수와 13일의 금요일과학동아 l199909
- 않은 이름으로 본다. 최근에는 한글 이름인 경우에도 자음과 모음을 오행에 배당해서 글자의 순서가 어떤 배열을 이루는가에 따라 화복을 판단하는 일까지 생겼다.스키너의 비둘기숫자가 주는 미학적인 느낌을 한번쯤 음미해보는 정도를 넘어 숫자에 대한 공포를 떨치지 못하거나 점수술에 의지해 ... ...
- 3. 위험일 경고하는 바이오리듬과학동아 l199908
- physical), 감성(emotional), 그리고 지성(intellectual) 리듬이 그것이다. 그래서 각 용어의 머리글자를 모아 PSI 학설이라고 부른다.각 리듬은 고조기와 저조기를 물결 모양으로 번갈아가며 나타내는데, 거의 한달 간격으로 주기가 이뤄진다. 즉 신체리듬은 23일, 감성리듬은 28일, 그리고 지성리듬은 33일이다 ... ...
-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과학동아 l199907
- 암흑성운으로 불린다. 공식 명칭은 B143. B는 암흑성운을 처음 발견한 버나드(Banard)의 머리 글자에서 따왔다. 표준렌즈로 쉽게 찍히며 청명한 날 쌍안경으로도 볼 수 있다 ...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과학동아 l199907
- 해 1514년을 가리키도록 한 교묘한 방진이었다.이처럼 마방진은 그 교묘하고 신비함이 글자 그대로 마술적인(magic) 느낌을 갖게 한다. 때문에 마방진은 고대부터 자연철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됐고, 근대의 수학자들도 관심을 가졌다. 17세기 중반 천재수학자 페르마(1601-1665)의 시기까지 수많은 ... ...
- 컴퓨터바이러스 스토리과학동아 l199906
- 프로그래머들이 재미로 만든 깜찍한 프로그램들로부터 비롯됐다는 것. 화면에 재미있는 글자가 나왔다가 사라져 상대방을 놀라게 하는 프로그램들이 그 예다. 이외에도 해커들이 모험심으로, 불평불만자들의 까닭없는 복수심으로, 고의적인 업무 방해를 목적으로 바이러스가 만들어졌다는 얘기도 ... ...
- 고대) 동물사냥 작전회의과학동아 l199904
- 들소의 발이 묶인 채 쓰러져 있는 것도 발견된다.해석이 어떻든 동굴의 벽화들은 글자가 없던 시절 필요한 정보를 서로에게 전달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로 평가받는다. 그래서 학자들은 알타미라와 라스코의 그림을 ‘예술의 시초’라기 보다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여명’으로 표현하는데 대체로 ...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과학동아 l199904
- 아이콘은 지구 밖 다른 외계 문명과의 접촉을 시도할 때도 사용된다. 지구에서 사용되는 글자가 외계인에게 의미를 전달할리 없는 것은 뻔하다. 그렇다면 그림이 훨씬 의사소통의 가능성을 높여주지 않을까.이런 취지에서 실제로 1972년 발사된 파이어니어 10호에는 외계인과 접촉할 경우를 대비한 ... ...
- 고대) 로제타스톤의 비밀과학동아 l199904
- 같은 문명권은 각자 나름대로의 문자 체계를 만들어 나갔다. 여기에 공통점이 있다. 각 글자는 사실적인 그림으로부터 변형돼 나갔다는 점이다.그림을 모방해 만들어진 문자, 즉 상형문자는 각 문명마다 독특한 양상으로 발달했다. 따라서 현대인이 이를 해석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 ...
- ② 정보통신과학동아 l199903
- 1996년에 이르러 남북과 중국 대표단은 정보처리용어 통일안, 자판배치 공동안, 우리글자 배열순서 공동안 및 부호계 공동안에 합의를 봄으로써 앞으로의 남북한 학술교류에 있어 매우 고무적인 하나의 이정표를 만들었다. 하루속히 남북한 컴퓨터기술자가 남북을 왕래하면서 기술교류를 할 수 있게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