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요
잔물결
진동
wave
물결
파도
d라이브러리
"
파동
"(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20세기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
과학동아
l
199404
시작한 양자물리의 관점으로 보아도 전자가 핵 안에 잡혀 있을 수는 없다. 전자는 입자와
파동
의 양면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정할 수 없다. 위치를 정하기 위해서는 전자의 파장이 짧아야 하는데 파장이 짧으면 에너지가 증가해 전자가 원자핵 안에 얌전하게 갖혀 있지를 못한다." ... ...
물리- 증기보트 띄우기
과학동아
l
199404
즉시 응결되고, 구리관에 다시 밀려 들어가 가열됩니다. 그러므로 보트는 이 일련의 순간
파동
에 의해 움직이며 알코올의 열에너지가 공급되는 한 증기 보트는 계속해서 움직일 수 있습니다.모든 물체의 원동력은 에너지입니다. 이러한 에너지에는 열 에너지, 빛 에너지, 동력 에너지 등이 있으며 ... ...
물리- 물질의 근본 입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04
성질을 띠게 되고 그 파장은 빛보다 훨씬 작다. 이를 물질파라고 하는데 이 파장이 짧은
파동
을 이용하여 광학현미경보다 배율이 높은 현미경을 만든 것이 전자현미경이다. 광학현미경에서 빛은 렌즈에 의해서 상을 확대 하지만 전자현미경에서 전자는 전기장과 자기장에 의해 상을 확대한다.원자의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크기와 성능을 가진 수중장치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빨리 나아갈 수 있다. 다랑어 특유의
파동
치는 듯한 몸짓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물속에서 움직이는 물체가 일으키는 난류가 수중장치의 속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혼돈제어기술로 난류 발생을 감소시키면 수중장치의 성능을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03
볼 수 있게 하는 기계가 '오실로 스코프'다. 이 오실로스코프의 화면상에 나타나는
파동
의 모양이 악기의 종류에 따라 독특한 모양이 나타나는데 이를 음색(音色)이라고 한다. 그러면 큰 소리와 작은 소리는 물리적으로 무엇이 다른 것인가? 큰 소리는 에너지가 큰 것이고 작은 소리는 에너지가 작은 ... ...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
과학동아
l
199402
한다. 왜냐하면 탄력이 좋을수록
파동
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인데 빛의 속도는 다른 어떤
파동
보다 빠르다.지금으로부터 1백년 전쯤까지 거의 모든 과학자들은 아직 포착되지는 않았지만 그러한 매질이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우주를 꽉 채우고 있을 그 가상의 물질을 '에테르'라고 이름까지 지어 ... ...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01
차량은 고속차량으로 부적합하다. 고속집전성능차량의 주행속도가 가선(架線)의
파동
전파(波動傳播)속도를 넘는 경우에는 가선과 팬터그래프 사이에 공진(共振)이 발생, 이선(離線)이 생기게 된다. 이선발생은 동력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에 방해를 줄 뿐 아니라 아크(arc·전기불꽃)를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12
시공간의
파동
인 중력파가 퍼져 나간다. 중력파는 시공간을 빛의 속도로 통과하는
파동
이다. 이 점에서 전자파와 같으나 전자파와는 달리 모든 물체를 뚫고 지나간다. 전자파는 진공이나 공기 등은 잘 뚫고 지나가나 물속이나 쇳덩이는 잘 통과하지 못한다. 장애물에 흡수되는 경우도 많다. 전파가 ... ...
'93 노벨상 수상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311
전하에 의해 전자기파가 발생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운동하는 질량에 의해 생성되는
파동
이다. 엄밀히 말하여 우리가 작별할 때 손을 흔들어도 중력파는 발생해야 한다. 하지만 중력이 전자기력에 비하여 ${10}^{36}$배나 약하기 때문에 중력파 또한 그만큼 전자기파에 비하여 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 ...
프랑스 첨단과학기술 6
과학동아
l
199310
전력공사(EdF)의 주종원전으로 표준화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프랑스는 1973년 석유
파동
이후 급속히 팽창한 세계원자력시장에 진출하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우리나라에 도입된 울진원자력발전소 1호기와 2호기도 그 일례다.프랑수의 원자력 정책이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무엇보다도 프랑스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