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본"(으)로 총 4,88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할그림스키르캬, 마크로 적분 배워봤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구, 나눌 분, 구할 구, 쌓을 적구분구적법은 면적을 구하기 어려운 도형을 직사각형 같은 기본도형으로 일정하게 나누고 그것들의 넓이를 더해 원래 도형의 넓이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곡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어떻게 구해야 할지 막막하잖아요. 그럴 때 구분구적법을 쓰는 거죠. 어떻게 ... ...
- 칠교놀이 한판 승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만들 수 있을까? 답은 ‘만들 수 없다’야. 어떻게 보자마자 알았냐고? 그건 칠교놀이의 기본적인 원리가 바로 ‘분할합동’이기 때문이야.2차원의 다각형 P와 Q가 있을 때, P를 몇 개의 조각으로 나눈 뒤 그 조각을 잘 조립해 Q를 만들 수 있으면, P와 Q를 ‘분할합동’ 관계라고 불러. 칠교놀이는 7개의 ... ...
- [수학기자의 책장] 수학을 즐기게 만드는 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대부분 논문으로 출간됐을 정도로 어렵지만, 김 교수의 손끝에서 순열, 행렬, 집합 등 기본적인 수학 개념만 알면 이해할 수 있게 탈바꿈합니다. 각 게임의 마지막 쪽에는 수준별 도전 문제가 있어 푸는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수학을 배운다는 생각을 버리고 가벼운 마음으로 보드게임을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직각에 가깝게 굽어있다. 사람과 펭귄은 둘 다 이족보행을 하며, 다리의 골격구조도 기본적으로 같다. 하지만 사람의 발목뼈는 매우 짧은 반면 펭귄을 포함한 조류의 발목뼈는 매우 길어 형태에서는 차이가 크다. 펭귄의 무릎은 몸 안쪽으로 숨겨져 있으며, 밖에서 무릎관절처럼 보이는 부분이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높은 성적을 거뒀다. 하지만 공 교수는 지난 대회를 여전히 아쉬워했다. 가장 기본적인 자세인 ‘서 있기’가 불안정하게 설계돼 평소 기량을 다 보여주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는 “2020년 대회를 위해 사용자의 착용감과 제어의 편의성을 보완했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변화는 발목 부분이다. ...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AEC는 여러 파동 중 특정 파동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다. 노이즈 캔슬링과 기본 원리는 같다.A와 B가 분리된 공간에서 각자 마이크에 대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각 공간에는 마이크와 스피커가 설치돼 있다. A가 ‘아!’라고 외치면 B의 스피커에도 ‘아!’가 들린다. 동시에 이 ... ...
- 윷놀이를 이겨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가치가 큰 결과가 나올 확률은 낮고, 가치가 작은 결과가 나올 확률은 높은 게 게임의 기본적인 원리거든.만약 윷에도 이 원리가 적용된다면 도→개→걸→ 윷→모 순서로 많이 나와야 하겠지. 그래서 오창혁 영남대학교 통계학과 교수는 이 순서를 반영하는 가장 이상적인 윷의 모양을 제안했어.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사실을 알아냈죠. 이를 ‘센트럴 도그마(central dogma)’라고 부릅니다. 생물학의 기본 개념 중 하나인 DNA와 RNA를 만화로 재미있고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이번 기회에 DNA와 RNA의 개념을 확실하게 정리해두세요! 최신형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바로가기(92p)“유전자 결함의 89%를 고칠 수 있는 ... ...
- 가짜뉴스와의 전쟁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늘리는 데 최적화됐다. 여기에 최근 정보 전파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SNS에 대한 기본적인 믿음도 작용한다. 친분이 있는 지인이 올린 SNS 게시물을 쉽게 사실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기존에 소비한 콘텐츠와 유사하지만 좀 더 자극적인 내용을 추천받고, 이에 따라 유사 콘텐츠에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해야 하니 음성 인식 기술과 여러 정보를 처리해 판단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합니다. 그리고 위치 인식 및 위치 측정 기술과 힘 조절 제어 기술 등이 구현돼야 합니다. 지금 당장 실현하기 힘든 이유가 무엇인가요?기술이 정형화돼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정해진 위치에서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