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얼마나 중요한 학문인가는 두말하면 잔소리인 이유다. 그리고 이러한 관측 결과와 기술이 더 축적되면 지구 대기 오염과 기후 변화에 대한 대처 방안을 내놓을 수도 있다. 레이저 물리와 비선형 광학 박사이며, 미라틀라스 공동설립자 겸 대표이사인 장-에두아 커뮤날 대표는 독자에게 이 ... ...
- [러셀 탐구생활] 제1장, 러셀을 사랑한 이유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뒤흔든 것으로 유명한 수학자이지요. 하지만 그는 역설뿐만 아니라 논리주의, 유형이론, 기술이론 등 수학과 철학에서 다양한 업적을 세웠습니다. 말년에는 대중을 위한 책을 집필해 노벨 문학상까지 받았지요. 하지만 제가 러셀을 존경하는 데에는 더 큰 이유가 있습니다. 러셀은 인류의 복지와 ... ...
- [과학뉴스] 웜홀과 블랙홀 똑같은 모습으로 보인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이론물리학과 교수는 “이 차이를 구분해 웜홀을 발견할 수도 있겠지만 현재의 망원경 기술로는 한계가 있다”며 “웜홀과 블랙홀을 더 쉽게 구분할만한 차이점을 계속 찾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 ...
- [기고] 선진국·개발도상국 한 목소리 "기후변화 대응, 다시 전진할 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GCF)과도 더욱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 이런 정책적 노력과 창의적인 한국 기업기술이 결합한다면 K녹색협력(Green Partnership)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필자소개김효은. 기후변화 대응 및 개발협력 분야의 국제적 전문가다. 외교부와 외교통상부에서 지역협력과 세계무역, 기후변화환경 분야를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양자전송 기술의 일종으로 양자상태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양자얽힘을 전달하는 기술이다. 또 다른 중요한 연구 방향은 다자간 양자채널을 구성하는 것이다. 오늘날 많은 연구는 송신자와 수신자, 즉 두 노드에서 양자얽힘 입자를 나눠 가지는 데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셋 또는 그 이상의 입자들 ... ...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초부터 연구를 시작해 2022년 1월 미국 ‘소비자 가전 전시회(CES) 2022’에서 최초로 상용화 기술을 선보인 차세대 TV, 퀀텀닷 디스플레이는 0차원 나노 물질인 ‘퀀텀닷(양자점)’으로 빛을 냅니다. 퀀텀닷은 무려 스스로 빛을 내는 0차원 반도체 소재입니다. 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퀀텀닷이라도 크기에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강도와 탄성 두 마리 토끼 잡은 초탄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도호쿠대 금속재료연구소 초빙교수로도 일했다. 2020년 정부출연연구소 우수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2022년 대한금속학회 동국송원학술상을 수상했다. ‘모던 알키미스트’ 등의 책을 저술했다. szhan@kims.re ... ...
- [과동키즈] 삼국지 매니아가 철도 계획가로… “저는 성덕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책에 실린 고속철도 사진은 어린 눈에도 정말 멋졌다. 그리고 한편으론 한국의 철도 기술력이 이들 국가에 비하면 많이 뒤처졌다는 사실을 깨닫는 계기도 됐다. 시간이 지나 고속철도는 2004년 4월 1일에 개통됐다. 교통공학은 진정한 융합학문 교통공학을 더 공부하고 싶었던 나는 대학원에 ... ...
- ‘진짜 산학협력’ 해보고 싶다면.... 창원대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이제 시작일 뿐이다. 이상훈 연구원이 속한 창원대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기술을 접목해 전통적인 제조업을 혁신하려는 시도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창원대는 2021년부터 스마트제조융합전공(학부)과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대학원)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 ...
-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데이터 산업으로 변신 중 Q스마트팜에서 잎채소 외의 식물 재배는 왜 보기 힘든가요?기술적으로 가능은 하지만 쌀, 밀과 같은 곡물은 생산 단가가 높아서 현재 재배가 활발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새싹 밀의 형태로 콘테이너형 스마트팜에서 동물 사료나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재배되기도 합니다.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