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로
원정
d라이브러리
"
먼길
"(으)로 총 727건 검색되었습니다.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행성을 탐험하기 위해 어떻게 그곳에 날아 가야할까. 아마도 지구나 달 또는 다른 행성들이 태양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정지해 있다면 행성으로의 비행은 아주 간단할 것이다. 지구에서 탐험하고 싶은 행성을 향해 똑바로 우주로켓을 발사해 탐사선을 보내면 된다. 그러나 태양계의 행성과 위 ... ...
추진력과 성실성 갖춘 로봇축구의 대부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드라마 ‘카이스트’를 통해 대중들에게 알려진 로봇 축구. 하지만 로봇축구는 로보틱스를 전공하는 학생들 사이에서는 2002년 월드컵만큼이나 유명하다. 그 누구라도 가로, 세로, 높이가 2.5cm인 정육면체 로봇이 공을 이리저리 패스하며 골인을 성공시키는 장면을 본다면 필드의 호나우두를 보는 ... ...
멸종위기 동물 어떻게 되살리나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50여년 전 미국에서 사라졌던 회색늑대가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부활하고 있다.1995년부터 이곳에 풀어준 37마리의 늑대가 이제는 1백70여마리로 늘어난 것이다.우리나라에서는 에버랜드동물원이 중심이 돼 1994년부터 6마리의 산양을 월악산에 풀어줬다.과연 월악산 산양도 옐로스톤의 회색늑대처 ... ...
인공생명체 탄생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생명의 설계도 DNA를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일이 활발하다.이를 바탕으로 2년 안에 미생물 수준의 생명체를 만들 수 있다는 전망이 결코 가볍게 여겨지지 않는다.인공DNA 합성기술은 과연 어디까지 갈 것인가.지난 1월 23일 영국의 ‘선데이타임스’는 앞으로 2년 안에 생명체가 인간의 손에 의해 탄생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고대 그리스인은 속이 텅 빈 거대한 공에 태양과 별이 붙어있고 그 가운데 떠 있는 편평한 원반모양의 세계에 사람이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지금까지도 적지 않은 사람들이 감각적으로는 이러한 생각을 갖고 있으며 그들 중 상당수는 ‘지구는 둥근가’라는 질문에 쉽게 답을 내놓지 못한다.지구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별 사이의 움직임 따라가기우리는 흔히 ‘지구는 둥글다’고 알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지구가 둥근 모습을 보지 못한 채 평평한 지면으로만 보인다. 코페르니쿠스 덕분에 지구는 태양 주위를 1년에 한번씩 공전하면서 자신도 자전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러나 실제 생활에서는 지구가 자전 ... ...
Ⅱ. 환자 개인별로 맞춤약 개발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인류는 A, G, C, T 4가지 알파벳으로 이뤄진 모든 유전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모아 책으로 만들면 1천쪽자리 책 2백권에 해당하는 분량이다.그러나 이 정보 자체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마치 해독할 수 없는 문자로 이루어진 거대한 고대 도서관의 유적을 발굴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대학 입시를 앞둔 학생들과 지도 교사들은 서울대 고교장 추천 전형으로 치러진 지필고사에 주목한다. 과학적으로 사고한다는 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길이 보이기 때문이다.서울대는 지난 9월 18일 2000학년도 고교장추천입학을 위한 지필고사를 실시했다. ... ...
서리 맞은 단풍은 꽃 보다 붉지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가을에는 여름보다 공기 중의 수증기가 적어 높고 맑은 하늘을 볼 수 있다. 먼지나 수증기 같은 부유물이 많으면 태양의 백색광을 대부분 산란시켜 희뿌연 색의 하늘이 된다. 하지만 부유물이 적은 가을 하늘에서는 푸른빛만 많이 산란돼 높고 먼 쪽빛 하늘이 된다.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소행성의 영어이름 Asteroid에는 '별과같은'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다른 행성처럼 태양 주위를 돌지만 크기가 너무 작아 망원경으로 보아도 크게 보이지 않고 희미한 별처럼 보이기 때문이다.근래 나온 몇 편의 SF영화에서 묘사된 소행성은 지구를 파괴하는 무서운 괴물로 그려진다. 물론 지름 수㎞의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