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무한"(으)로 총 1,27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무한의 개척자, 칸토어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저희들이 준비한 첫 번째 이야기는 수학자 칸토어에 대한 이야기예요.‘무한’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수학자죠. 칸토어가 주장한 무한 이론에는 어떤 것이 ... 계속 보시려면?INTRO. 인피니트가 들려주는 무한도 이야기PART 1 무한의 개척자, 칸토어 PART 2 무한한 사람들이 사는 섬이 ...
- 내 안에 루트2 있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왜 29cm도 30cm도 아닌 29.7cm인 걸까?무한도전의‘무리수’MBC 인기 예능 프로그램인‘무한도전’에서 유재석은 종종 길에게‘네 예능감은 무리수’라는 표현을하곤 했다. 여기서 사용된 무리수는 수학에서 얘기하는 무리수가 아니니 착각하지 마시길! 이때 무리수란 바둑 또는 장기에서 무리하게 두는 ... ...
- 대칭 몸매에 행운이 따르는 팔방미인의 수 8수학동아 l2011년 08호
- 하필이면 그 수레의 바퀴가 딱 8개의 바퀴살을 가지고 있다는 거야. 그리고 8을 누이면 무한대(∞) 외에도 2개의 수레바퀴가 나란히 놓인 모양을 떠올릴 수 있어. 8을 누인 모습에서 인생의 수레바퀴 같은 순환을떠올릴 수 있는 셈이지.실제로 우리 주변에는 일주일이나 음계 등이 7개의 순환구조로 ... ...
- PART 3 미녀새 이신바예바보다 더 높이수학동아 l2011년 08호
- 갈 길이 먼 만큼 도전할 것이 많아요. 저희 무모한 도전팀은 우리나라 육상 국가대표들의 무한한 도전을 응원합니다. 여러분도 함께 응원해주세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무모한 도전 육상특집 : 더 빨리, 더 멀리, 더 높이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 PART 2 헤라클레스보다 더 멀리 PART ...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마음대로 상상해 보세요. 끝없이 계속되는 것을 수학에서는 무한이라고 합니다. 무한에 대한 상상, 지금까지 없었던 것에 대한 상상에서 창조는 시작됩니다. 이 시는 수학에서도 가장 필요한 것이 상상력임을 알려줍니다.참새 합창단학교 가는 골목 위에 전깃줄 다섯오선지다참새들이 음표처럼 ...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하고 진실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미와 다르다. 현재 인류는 빅뱅이라 불리는 무한에너지를 지닌 특이점의 폭발로 우주가 생성됐고, 우주의 나이는 대략 137억 년이라는 사실을 안다. 또 우리가 속한 태양계 밖 가장 먼 천체(은하, 퀘이사)는 대략 140억 광년 떨어져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같은 기간 근무자 중에 5일 이상 연속 근무한 사람에게서는 1.6배, 6일 이상 연속으로 근무한 사람에게서는 무려 1.8배나 더 높았다. 논문은 1.6배까지는 ‘의미 없는 증가’로 분류했지만 1.8배는 ‘의미 있는 증가’라고 평했다. 황승식 인하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예방의학)도 “교대근무가 암을 ... ...
- '정육면체'로 평면을 채울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색종이를 가만히 살펴보고 있노라면, 무한한 상상력이 꿈틀댄다. 세상에 많은 것들을 종이 한 장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변신의 귀재라 불리는 색종이가 수학 교구로 변신했다! 각도기, 컴퍼스, 자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양한 각을 표현하고 이를 이용해 작품을 만들 수 있다. ... ...
- 친구들 속에 묻어가기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인간들끼리 원유, 곡물, 희토류 등 자원을 가지고 전쟁을 벌이는 까닭도 같은 종 내에서 무한 경쟁을 하기 때문이다. 애벌레는 태어날 때부터 같은 종끼리 격렬한 먹이 경쟁을 피하는 사회 행동이 발달했고 그 현명함 때문에 곤충이 오늘날까지 지구를 지배하고 있다.똘똘 뭉쳐 천적의 접근 ... ...
- 진실 혹은 거짓? 그림 속 도형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에서는 꿈을 설계하는방법을 알려주는 장면에 무한계단이 등장했다. 반복되는 무한계단은 영화의 핵심 내용이었던 순환구조와 의미가 일치한다. 삼각형의 세 각의 합은 180°다. 그런데 두 각이 모두 90°인 삼각형이 있다. 1954년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인 로저 펜로즈는 세 막대를 이용해 두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