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날 수 있어. 연구팀은 갓 태어난 초파리가 나는 법을 익힐 때 활성화되는 뉴런(뇌 신경
세포
)을 확인한 뒤, 여러 가지 날 수 없는 상황에 처한 초파리들의 뉴런과 비교 분석했어. 그 결과 이미 다 자란 초파리도 날 수 없는 상황에 부딪히자 같은 뉴런이 활성화됐고, 이 뉴런이 수면을 유도하는 것을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코로나바이러스를 통과시킨다. 코로나바이러스 외피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
세포
침입에는 핵심 도구인 셈이다. 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의 사촌격 단백질이다. ACE는 원래 체내에서 혈압과 대사기능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ACE2도 체내 수분과 혈압을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있다.하지만 이런 식으로 배양할 수 있는 바이러스의 수는 매우 적다. 인위적으로 배양한
세포
에서는 증식하지 않는 바이러스가 상당수이기 때문이다.최근에는 바이러스의 정체를 빠르게 알아내기 위해 유전자 분석부터 시행하기도 한다. 특히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의 ... ...
STEP ① 숙주
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을 막아내는 역할을 하지만, 면역 신호 물질인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정상
세포
까지 공격하는 사이토카인 폭풍이 일어나 스스로 위험해질 수 있다. 현재까지 박쥐의 몸속에는 최대 200종의 바이러스가 사는 것으로 알려져 ‘바이러스 저장고’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들 바이러스는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 있다. 항원 정보를 전달받은 B림프구 중 일부는 항체를 생산해 항원을 없애는 형질
세포
로 전환되고, 나머지는 항원 정보를 기억해 장기간 생존하는 기억 B림프구로 분화한다. 동일한 항원이 2차로 침입할 경우 기억 B림프구가 작용해 곧바로 항체를 생산한다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시킨다고 알려진, 미국 국립암연구소 로버트 갤로 박사팀이 발견한 ‘인간T
세포
백혈병바이러스(HTLV· Human T-lymphotropic virus)’에 대한 항체를 바이러스에 투입했다. 하지만 두 과학자가 발견한 바이러스는 HTLV가 아니었다. 몽타니에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새로운 레트로바이러스 종일 ... ...
1996년 면역
세포
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가져왔다. 도허티와 칭커나겔은 우리 몸의 면역
세포
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와 정상
세포
를 구별하는 방법을 발견한 공로로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칭커나겔은 1996년 12월 10일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우리가 지금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스톡홀롬에 있을 수 있는 이유는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단백질은 돌연변이가 자주 일어나는 대표적인 부위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도 박쥐
세포
에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탄생했다. 돌연변이에 관계없이 코로나바이러스가 공통으로 갖는 항원을 찾아야 만능 백신이 현실이 될 수 있다. 여전히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 ...
[에디터노트] 바이러스 특별판을 펴내며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비밀을 밝히기 위해 얼마나 고군분투했는지 그 과정을 담았다. 면역
세포
인 T
세포
의 작동 원리를 밝혀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피터 찰스 도허티 박사와는 직접 e메일 인터뷰를 진행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같은 신종 바이러스를 잡을 방안을 들었다. 과학은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 ...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한다. NA 단백질은 증식된 바이러스가 다른 숙주
세포
로 옮겨갈 때 기존에 감염된 숙주
세포
와 바이러스 입자 간의 결합을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RNA에 담아 놓은 RNA 바이러스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8개의 RNA 분절로 이뤄져있어 복제 시 재조합이 일어날 수 있다.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