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한 겁니다. 학생들은 사진을 왜 찍었는지 메모도 남겼습니다. 이같이 사진을 매개로 연구 참여자의 가치관이나 생각을 표현하게 하고, 이를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방법을 ‘포토 보이스(Photo Voice)’라고 합니다.3주의 실험기간이 끝나자, 360여 개의 ‘실패 장면’이 모였습니다. 학생들은 실패 ...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정면으로 마주해 자양분으로 만든다면 그걸로 오케이란 겁니다. 안혜정 KAIST 실패연구소 연구교수에게 과학동아 독자들이 어떻게 하면 실패를 성공적으로 다룰 수 있을지 조언을 청했습니다. 안 교수는 “KAIST 학생들이 그랬던 것처럼, 일상에서 벌어지는 실패의 순간들을 기록해 보면 좋겠다”고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연구위원의 안내를 따라 실험실에 입장해 레이저 출력기나 증폭기, 레이저로 핵융합을 연구하는 고체 타겟 레이저 등의 장치를 집적 들여다봤다. 랩투어에 참가한 이하은(서울 대도초 5) 독자는 “원형 챔버, 렌즈, 거울과 같은 장치를 직접 보니 인상깊었다”면서 “지금껏 레이저에 대한 궁금증을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의혹1. 우두법 전에도 천연두 예방법이 있었다?천연두는 천연두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전염병이다. 1980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천연두 근절을 선언하기 전까지, 천연두는 치사율 약 30%에 전염성도 매우 높은 위험한 병이었다. 특히 회복된 이후에도 65~85%의 사람들이 피부가 수포로 덮이는 후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몸에 악성 종양이 생기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외과 수술을 받는다. 큰 수술일수록 절개해야 하는 부분은 넓어진다. 그만큼 수술 이후 회복하기까지 시간도 오래 ... 환자와 의사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 그리고 여러 분야의 사람을 만나 함께 발전시켜 가는 연구라는 점이 가장 보람됩니다 ... ...
- [꿀꺽! 생활 속 수학 한 입] 절약요정 졸졸이의 지구 지킴 일과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물을 졸졸 아껴 쓰지 않고, 콸콸 쓰는 친구가 있다고? 경환이의 일과표를 보니, 너무 많은 물과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잖아~?! 나, 졸졸이와 함께 물과 플라스틱을 절약하고 환경을 지키는 방법을 알아보지 않을래? 곱셈과 나눗셈을 활용하면 금방 알 수 있거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 ...
- 어린이가 만든다! 스쿨존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5월 15일부터 5월 24일까지 한국교통연구원 심재익 연구위원의 자문을 받아 등하굣길 안전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함께 지도를 만들어 봤습니다. 팝콘플래닛 홈페이지를 통해 초등학생 52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해 주었어요. “대부분의 어린이 교통사고는 뛰다가 발생” TV와 유튜브 등에서 ... ...
- [만화 뉴스] 제로 슈거, 체중 조절 효과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수크랄로스처럼 흔히 제로 슈거 식품에 사용되는 인공 감미료입니다. WHO는 “관련 연구를 검토한 결과, 무설탕 감미료가 체지방을 줄이는 데 어떤 효과도 없었다”고 설명했어요. 오히려 “무설탕 감미료를 오랫동안 섭취하면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병의 위험이 커진다”고 경고했지요. 그러면서 ... ...
- [가상 인터뷰] 기저귀로 집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매년 350만t(톤)이 넘는 기저귀가 땅에 묻히고 있어. 그런데 기저귀로 집을 만든다고? 연구자들은 쉽게 썩지 않는 일회용 기저귀를 활용할 방안을 생각해 봤어. 일본 기타큐슈대학교 바트 드완커 교수팀은 일회용 기저귀를 분쇄한 물질이 콘크리트를 얼마나 대체할 수 있는지 실험했어. 기저귀 ... ...
-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버릴 수 있지요. 현재는 클라리온 클리퍼톤 해역 내의 생물 보존 구역을 설정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요. 해저면에 사는 생물들을 조사하여 생물 다양성이 높은 지역을 선정해 이를 보존하면, 그 지역에 사는 생물들이 채굴에 의해 피해를 입은 지역으로 이주해 생태계가 자연적으로 복원될 수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