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벽
완비
천의무봉
완전무결
전부
전체성
극치
d라이브러리
"
완전
"(으)로 총 2,04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추정되는 UFO 영상과 사진을 분석한 결과 물체는 매우 밝은 빛을 내고 있었다. 또 광원은
완전
한 둥근 형태로 음영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반사된 빛이 아닌 자체 발광하는 빛으로 추정했다. 시종일관 같은 대형을 이뤄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한 점이 특이하다.UFO센터에서 안산 출현 비행물체의 이동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학문이다. 여기에는 수열의 관계를 함수로 표현하는 ‘
완전
열’이라는 개념이 있다.
완전
열을 만들기 위해서는 함수들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는데, 이때 그림의 생김새가 뱀을 닮았다고 해서 수학자들이 뱀 보조정리라고 이름 붙였다.한편 확률론 이론에는 ‘뱀의 눈’이라는 용어가 있다. ... ...
[수학실험실] 눈결정보다 아름다운 오더리 탱글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꽃 모양까지 모양도 다양하고 생김새도 예뻐.”“뭐야? 눈을 돋보기로 관찰하니까
완전
다른 모양이네! 거기다 모두 대칭이야~. 그래서 아름다운가?”“우리 두리가 잘 아는구나. 그런데 눈결정보다 더 아름다운 대칭 도형이 있단다. 한 번 만들어 볼래?”대칭에 매료된 수학자, 새로운 도형을 ... ...
내가 뽑은 차세대 전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7호
안으로 집어 넣는 방법으로 스텔스 기능을 갖추었다. 하지만 F-35 라이트닝Ⅱ에 비하면
완전
하지 않다.2020년엔 국산 전투기로 하늘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그 소식 들었나요? 우리나라도 전투기 조종사들이 훈련하는 ‘고등훈련기’ 를 만들었다고 해요. 어떤 비행기인지 ... ...
모모와 요괴들의 수상한 모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왔소.세 요괴 친구들의 친구 '모모' 내 이름은 모모. 아빠가 바다에서 돌아가신 뒤 ‘
완전
소심’해진 소녀야. 작은 섬으로 이사 와서 새 친구를 사귀는 것도, 바닷물에 즐겁게 풍덩 빠지는 것도 할 수가 없었지. 하지만 우스꽝스럽게 생긴 세 친구를 만나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엄마와 열심히 살아갈 ... ...
7년째 잡히지 않은 77246 위조지폐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발견되지 않고 있다. 77246 위폐를 만든 범인은 이제 위조지폐를 만드는 일에서 손을
완전
히 뗀 것일까. 또 ‘77246’이란 고정된 일련번호 속에는 무슨 뜻이 담겨 있었을까. 범인이 잡히지 않는다면 영원히 수수께끼로 남게 될 것이다 ... ...
천재수학자의 완벽한 알리바이 용의자 X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든다.그러던 어느 날, 편한 마음으로 석고의 집에서 하룻밤 신세지던 민범은 우연히 라는 수학 교재 사이에서 첫번째 단서를 발견한다. 다시 수사에 박차를 가한 민범은 결국, 석고가 화선을 좋아해 이성적 판단이 흐려졌다는 결론을 내린다.원작 VS 영화지난 10월 18일에 개봉한 ... ...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연소실이 커지면 가장 큰 문제가 불
완전
연소다. 연료가 불
완전
연소하면 연소실이 버티지 못하고 엔진이 폭발한다.연소실의 압력을 높이는 방법도 있다. 같은 양의 연료를 연소하더라도 연소실의 압력을 높이면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추진력이 커진다. 한꺼번에 큰 압력을 ... ...
Part 1. 조미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몸에 전혀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게 어렵다”고 설명했다. “현대 과학이
완전
한 것은 아니니까 미래에는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논리에는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논리라면 현대 과학의 어떤 이론도 신뢰하기 어려워진다.너무 맛있는 게 문제MSG의 문제는 따로 있다. ... ...
알록달록 숭례문, 무슨 일이 있었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입혔어요. 가마에 산소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을 모두 틀어막고 불을 때면 나무가 불
완전
연소하면서 반응성이 높은 일산화탄소(CO) 기체가 나오거든요. 이 기체가 기와 속에 있던 산소(O)와 만나면 기와 표면에 탄소(C)가 코팅되면서 검은색이 나타나는데, 이 과정을 ‘연을 먹인다’고 표현한답니다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