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술
전략
계획
책략
군략
군술
작업
d라이브러리
"
작전
"(으)로 총 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호명 「타조알을 깨뜨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알중 가장 크고 단단한 타조의 알. 이 알을 넘보는 독수리가 지금 특수
작전
을 벌이고 있다.문제(1) 다음은 쥐의 문제 해결능력을 실험하기 위해 고안한 장치이다. 쥐가 닿지 않은 선반 위에 먹이를 놓아 두었다. 쥐는 사다리를 타고 선반 1에 올라간 후, 그 다음에 어떻게 해서 선반 2에 있는 먹이를 ... ...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적당한 수준이어야만 한다는 것이었다.360시스템의 세가지 원칙IBM특유의 밀어붙이기
작전
이 시작되었다. 회장 토머스 왓슨2세와 빈센트 리어슨 신제품개발담당이사는 IBM 개발부서 대표자들을 어느날 조용히 한 호텔방으로 불렀다. 그리곤 그들을 꽁꽁가두어 버렸다. 한마디의 숙제가 주어졌다.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있다.1976년 9월 19일 새벽 테헤란 상공에 별이 나타나서 이상한 동작을 하자 이란 공군의
작전
부사령관 요세피는 이를 조사하기 위해 F-4를 출격시켰다. F-4기는 테헤란 북쪽 64㎞ 지점에 떠있는 밝은 광채를 내는 보잉 707 급유 비행기만한 UFO를 목격하고 접근했는데, 갑자기 계기판이 마비되고 모든 ... ...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전쟁에서 극히 중요한 정보다. 페르시아만 상공을 지나가는 3개의 방위기상위성은 군사
작전
에 영향이 있는 사막의 모래바람과 기타 기상상태를 알려줄 뿐 아니라 이라크가 화학전을 개시할 시점에 독가스의 이동상태를 파악하고 이들이 확산되어 없어지는 시기를 예고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 ...
PARTⅠ마이크로파에서 레이저과학으로 첨단과학에 빛을 더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군사무기는 고작해야 총 대포와 같은 원시적(?)인 무기뿐이어서 기상조건과 사령관의
작전
, 군인들의 정신력만이 승패를 결정짓는 수단이었다. 산업혁명의 결과로 얻어진 기계문명의 덕택으로 제1차 세계대전에는 비행기와 같은 3차원공간을 활용한 전쟁무기가 선보이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대전은 ... ...
2. 전투기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구식이지만 최대 항속거리 1만㎞로 대륙간 왕복이 가능하며 고도 1만3천9백m 상공에서
작전
을 수행할 수 있어 적의 방공권 밖에서 공격이 가능하다. 시속 9백52㎞로 날며 한번에 27t의 폭탄을 퍼붓는 대형폭격기.■ FA18페만에 출동한 미군의 항공모함으로부터 발진한 전투기. 일명 호네트(hornet, 말벌)라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우리 주변에 유전공학적 기술의 손길이 가지않은 제품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양면
작전
으로 접근해야유전공학의 국제적인 연구추세로 보면 미생물유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이제는 동식물의 유전자 및 그 이용연구로 확대돼 가고 있다. 다시 말해 과거에는 부분적인 목표유전자를 ... ...
히틀러를 악마로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예를 들었지만 스포츠에서도 수학을 사용하게 된다. 즉 승률을 높이기 위해서 어떻게
작전
을 짜야 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통계를 이용하게 된다. 아마도 통계를 제일 많이 사용하는 스포츠는 야구일 것이다. 타율 방어율 등은 말할 것도 없고 각 개인별 통계가 있어 누군 누구에게 강하고, 약하고를 ... ...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있으리라 생각되어 이해하기 쉬운 어떤 상황을 비유하여 설명코자 한다.TV에서 '전격 Z
작전
'이란 프로그램을 보면 항상 주인공과 같이 다니는 최신형 전자조종자동차가 등장한다. 물론 현재로서는 가상이지만 이러한 자동차가 등장한다면 매우 편리하리라 생각된다. 현재의 원자로를 지금 우리가 ... ...
PARTⅡ 최고의 명예와 상금 걸린 노벨상 수상자 어떻게 결정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시작됐다. 주위의 만류를 뿌리치고 자원 입대한 모즐리는 1915년 연합군의 갈리폴리 침공
작전
시 전사했다. 모즐리의 연구를 이어받은 바클라와 시그반은 각각 1917년과 1924년에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미국의 해부학자이며 발생학자인 이반즈(1882~1974)가 노벨상에서 제외된 것은 아직도 이해할 수 없는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