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증거"(으)로 총 2,26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일벌과 일개미가 자매를 돕는 이유는? 흔히 이들 사이에서는 자식보다 자매가 유전적으로 더 가깝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해밀턴의 ‘단수이배성 가설’이다 ... 단수이배성 가설이 맞건 틀리건 간에, 포괄 적합도 이론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실증적 증거들은 수없이 많음을 기억해 두자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잘못됐다고 생각한다. 정말 그럴까. 어떤 증거물에서라도 DNA는 항상 검출할 수 있고, DNA 증거만 있다면 범죄 사건은 항상 해결할 수 있는 걸까. 이번 화에서는 범죄수사에서 DNA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또 우리의 기대만큼 DNA가 만능열쇠인지 살펴본다.강력한 신원 확인 도구, 상염색체 DNA 우리 몸엔 3 ... ...
- [쇼킹 사이언스] 바람이 돌을 움직인다고?! 항해하는 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돌을 민 흔적 등이 없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돌이 스스로 움직인다고 생각했지만 그 증거를 찾지 못했어요. 움직이는 돌에 대한 기록이 처음으로 남겨진 1915년부터 약 100년 동안 사람들은 이 돌이 왜 움직이는지에 대한 비밀을 밝혀내지 못했죠. 심지어 외계인이 돌을 밀어 움직이게 한다는 얘기가 ... ...
- [숲이야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친구, 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기록이 남아 있어요. 적어도 삼국 시대부터 버섯을 식용이나 약용으로 이용해 왔다는 증거지요. 이 후 조선 시대에는 세종실록지, 증보산림경제 등 다양한 역사서에 표고를 포함해 송이, 능이 같은 식용 버섯에 대한 기록이 가득하답니다. 지금 우리가 슈퍼에서 보는 버섯들을 조상님들도 길러 ... ...
- [수학뉴스] 앨런 튜링이 남긴 노래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암호해독가이자 수학자였던 튜링이 음악에 서도 선구자였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증거”라며, “1940년대 후반에 컴퓨터를 음악 작업에 쓸 수 있는 악기로 봤다는 것이 놀랍다”고 말했습니다 ... ...
- [과학뉴스]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시점에서 인류가 외계행성에서 메탄을 발견하면 그건 생명체가 있을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라며 “그러나 수십 억 년전에 우리 행성에서 메탄가스는 그렇게 큰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9월 26일자에 발표됐다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스미스의 서평이 지적하듯이, 이 글은 할데인이 최초로 이타성의 문제를 해결했다는 증거로 흔히 인용된다. 즉, 주점 토크의 실재 여부와 상관없이, 이 글만 꼼꼼히 읽어봐도 분란은 금세 정리될 것이다. 할데인은 뭐라고 썼을까.더 흥미로운 사실은, 오직 작은 개체군에서만 자연 선택이 이타적 ...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하면 빅뱅이라고 한다.지금은 거의 모두가 빅뱅 이론이 옳다고 인정하고 있다. 여러 가지 증거가 나왔기 때문이다. 물론 대폭발 순간을 직접 볼 수는 없지만,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초기우주★의 모습을 보고 있다. 138억 년을 날아온 빛과학자들은 주로 빛을 이용해 우주를 관측한다. 이런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에 대한 의견이 갈렸다. 사람과 닮은 로봇에게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는 과학적인 증거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2011년 7월, 미국 UC샌디에이고 인지과학 및 신경과학과의 아이세 피나르 세이진 교수팀이 불쾌한 골짜기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실험으로 밝혔다(doi:10.1093/scan/nsr025)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빨리 자라고, 어느 부분이 늦게 자랄지유전적으로 정해져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증거를 찾지 못했다.최근에는 피질이 백질보다 비교적 빨리 자라 주름이 생긴다는 주장도 나왔다. 핀란드 이위베스퀼레대 물리나노과학센터 투오마스 탈리넨 박사와 정준영 미국 하버드대 비스연구소 박사,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