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d라이브러리
"
지형
"(으)로 총 1,171건 검색되었습니다.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마을로 돌아오기로 했다. 마을로 돌아오는 길. 일행은 또 다시 길을 잃고 말았다. 이곳
지형
에 익숙한 원주민도 사막의 야간 운행은 매우 어렵고 위험한 일인 듯했다. 한참을 헤매던 원주민은 수시로 차에서 내려 타이어 방향과 발자국 방향을 확인했다.4~5시간을 헤매다 다시 마을로 돌아왔을 땐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놓은 거야. 노르웨이에 발달한 피오르는 이런 U자형 계곡에 바닷물이 들어오면서 생긴
지형
이지. 또 빙하가 녹은 물이 주변 웅덩이에 고이면서 캐나다의 루이스 호수와 피에토 호수처럼 아름다운 장관을 만들어 내고 있어.우리나라에서는 빙기의 흔적으로 차가운 물에 사는 열목어를 볼 수 있어.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해야 할까? 먼저 바람이 어디서 불어오는지를 알아야 해.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은 위치나
지형
, 계절에 따라 모두 다르고 시시각각 변해. 그래서 1개월 또는 1년 등 오랜 기간 동안 바람의 방향을 측정한 뒤 가장 많이 부는 방향을 하나 정해서 ‘주풍’이라고 부르지.바람길을 만들려면 건물을 짓거나 ... ...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되어야 한다.대포알을 탄 세 명의 모험가는 마침내 달을 가까이 지나가면서 달의
지형
을 관찰합니다. 달에도 지구처럼 높은 산이 여기저기 솟아 있는데, 가장 높은 산의 높이가 7603m라고 합니다.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은 에베레스트 산으로 높이가 8848m이므로, 단순히 비교하면 에베레스트 산이 더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수 있지만 진동수가 큰 고주파는 투과력이 낮기 때문이다. 남 실장은 “다중빔 해저
지형
탐사기로 얻은 영상을 분석하면 석유를 비롯한 광물자원이 많이 묻혀 있는 대륙붕이나 대륙사면을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해저면의 단단한 정도를 알 수 있는 천부지층탄성파 장비도 실렸다. 이 장비는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있다. 또 퇴적분지는 빈 공간(공극)이 많은 사암층에 점토가 굳어진 셰일층이 덮고 있는
지형
인데, 이산화탄소를 사암층에 주입해 셰일층이 가둬두는 게 가능하다. 다만 유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보가 부족하고 시추시설이 없어 매장하는 데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마지막 후보지는 채굴성이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수 없을 것이다. 다행히도 실제로 일기예보에 나오는 기상사진을 보면 위성사진 위에
지형
도가 겹쳐 있어 어느 지역에 구름이 어떻게 분포하고 있고 날씨가 어떨지 가늠할 수 있다.병원에서 사용하는 의료기기도 마찬가지다. 환자를 진단하려면 병을 일으키는 인자나 암세포가 몸속에 있는 부분 ... ...
어린왕자가 다녀간 대청도 '모래사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수 있다.사구에 식물이 뿌리를 내리면 땅이 점점 굳어지기 때문에 세찬 바람이 불어도
지형
이 변하지 않는다. 서해안에 있는 사구들은 대개 사탄동사구처럼 식물이 자라고 토양이 단단하다.사탄동사구는 소금기가 많고 모래가 뒤섞여 따가운 바닷바람으로부터 마을을 보호한다. 장미꽃을 지키기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목표 지점에서 반경 1.2km 내외에 낙하하기 때문에 주변에 바위가 없어야 한다. 또
지형
이 평평하고 경사가 없어야 하며, 만약 경사가 있더라도 완만해야 한다. 이 때문에 높은 해상도를 가진 LRO의 사진과 가구야의 고도계 자료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됐다.한국 관측팀도 총출동충돌지점 선정의 또 다른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마디로 그동안의 어려움을 표현했다.울돌목의 해저는 수심이 20~25m 정도로 얕고 평탄한
지형
이 넓게 발달해 있어서 발전소를 짓기에 유리하지만, 해협의 폭이 500m 정도로 좁아 유속이 매우 빠르다. 연구팀은 조류발전의 필수 조건인 이 빠른 유속 때문에 발전소 철골 구조를 설치하는 데만 두 차례나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