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DNA"(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를 완성한 뒤, 침팬지, 오랑우탄, 붉은털원숭이 등 영장류의 DNA도 해독했다. 2015년 해독이 끝난 붉은털원숭이가 가장 최근의 연구 성과다. 미국 베일러 의대 리처드 깁스 박사 연구팀은 “붉은털 원숭이와 인간이 93%의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다”고 ‘사이언스’ 2015년 4월 1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뉴런을 비활성화(또는 활성화)하는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_프랜시스 크릭, 1979년 DNA 이중나선을 발견한 프랜시스 크릭이 30여 년 전에 남긴 말은 ‘광유전학’을 정확히 예언했다. 광유전학은 빛을 이용해 뉴런의 활동을 자극 혹은 억제하는 기술로, 불과 10년 전만 해도 이런 방법이 전무했다. ... ...
- 과학뉴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지구를 정복하자!물곰에 대해 밝혀내야 할 문제들이 아직 남아 있어요. 외부에서 들어온 DNA가 어떤 방식으로 작용해 물곰의 생명력을 강하게 만들 수 있는지 밝혀지지 않았거든요. 골드스테인 교수는 추가 연구를 통해 제 생명력과 수평적 유전자 이동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길 기대하고 있어요. ... ...
- Part 2. 닭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있어요. 2012년 호주 뉴잉글랜드대학교 앨리스 스토레이 교수팀은 가축닭과 적색야계의 DNA를 조사해 적색야계에서 갈라진 가축닭은 기원전 3000년경에 중국, 인도 등지에서 처음 등장했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그럼 적색야계는 어떻게 가축이 됐을까요? 스웨덴 리코핑대학교 페르 젠슨 교수팀은 ... ...
- Intro. 오! 나의 '치느님' 공룡에서 치킨이 되기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온가족의 맛있는 간식이자 든든한 영양식, 바삭한 껍데기와 짭짤 달콤 쫀득한 속살의 기막힌 조화….우리가 모두 사랑하는 그 이름은 바로 치킨!먼 옛날 우렁찬 소리로 아침을 알렸던 닭이 이제는 *‘치느님’이라 불릴 정도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게 됐어요. 닭은 언제부터 우리 곁에 살게 된 ... ...
- Part 1. 조류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이번 연구에 참여한 영국 켄트대학교 다렌 그리핀 교수팀의 연구결과, 닭과 칠면조의 DNA는 중생대에 공룡에서 갈라져 나온 뒤 그다지 바뀌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다시 말해 닭은 지금 살고 있는 조류 중에서 공룡과 가장 가까운 ‘직계후손’인 셈이랍니다.공룡이 없어? 그럼 닭으로 만들어 ...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미스매치 복구’ 과정을 밝혀냈지요. 마지막으로 산자르교수는 자외선을 받고 망가진 DNA를 알아서 잘라내 버리는 ‘뉴클레오티드 절단복구’과정을 확인해 상을 받았답니다. 노벨상에 숨겨진 과학의 두 얼굴노벨상을 받았다고 해서 모두 좋은 연구로 평가를 받지는 않아. 과학이란 누가 어떻게 ... ...
- 스마트하게 크게 보자~! 스마트폰 현미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눈부신 발전을 이룰수 있었어. 모든 생명체를 구성하는 세포와 세포 속의 소기관 그리고 DNA까지 속속들이 알 수 있게 됐거든. 또한 병을 일으키는 병균에 대한 연구로 의학도 눈부시게 발전할 수 있었단다.실험으로 확인하기 스마트폰 현미경 만들기관찰 할 때 LED를 슬라이드 글라스 아래에 넣어도 ... ...
- 제9회 향수옥천 포도·복숭아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산화효소 활동을 낮추는 작용을 해요. 활성산소나 산화효소는 우리 몸 안의 세포막, DNA, 세포 구조를 손상시키고 각종 질병과 노화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에요. 따라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이 이들을 없애 준다는 건 노화를 방지해 준다는 뜻이지요. 게다가 프로안토시아니딘은 면역력을 키워 주는 ...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표현하고, ‘신종 바이러스’로 분류하지요. RNA바이러스에서 변이가 일어날 확률은 DNA바이러스보다 1000배 이상 높다고 해요.그런데 변이가 일어나면 지금까지의 치료 방법이 모두 쓸모없게 될 수도 있어요. 그럼 다시 연구해서 바이러스를 물리칠 방법을 찾아야 하지요. 변이되는 확률이 적거나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