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어린이과학동아
"
아시아
"(으)로 총 541건 검색되었습니다.
까칠까칠 황사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314
아니에요. 물론 사하라 사막을 비롯해서 세계곳곳의 건조지역에서도 황사는 일어나고 있어요. 하지만 특히 중국 대륙에서 일어나는
아시아
황사가 여러 나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답니다. 황사가 더 심해지는 데는 중국의 황사 발원지가 점점 넓어지는 것이 큰 이유예요. 마구잡이로 숲과 초원을 훼손하면서 사막화가 더욱 빨라지고 있거든요. ...
한반도에도 큰 지진이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131
7500만 년 사이에는 호주 대륙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와 충돌하고 결국
아시아
대륙과 붙는다. 인도판이
아시아
대륙과 붙으면서 히말라야 산맥이 생겼던 것처럼 이번에도 거대한 산맥이 생길 것이다. 1억 년 뒤에는 남극대륙이 북쪽으로 이동해 현재의 인도양으로 옮겨 온다. 2억 5000만 년 뒤에는 남미, 호주 대륙 ...
해적왕 잭의 지도 정복기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228
있었다. 1405년부터 1433년까지 명나라 영락제의 명을 받아 세계를 탐험한 정화가 그 주인공. 정화는 무려 62척의 대함대를 이끌고 동남
아시아
에서 아프리카까지 항해를 하면서 무역을 했다. 정화의 원정대가 만든 항해지도가 그 후 불타지만 않았더라면 중국인이 유럽인보다 먼저 바 다를 지배했을 것이다. {tIMG_l12}지도를 마스터하라! 이제 ...
나는 어떤 얼굴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228
사람들은 영하 50~60℃의 추위를 1만 5000년 간 견디면서 남방계와는 다른 북방계로 바뀐 거예요.원래 한반도에는 아프리카에서 동남
아시아
를 거쳐 한국으로 온 남방계가 살고 있었어요. 하지만 북방계 사람들이 북쪽에서 한국으로 내려오면서 현재는 북방계와 남방계가 함께 살고 있는 거지요. 난 북방계일까, 남방계일까? 한국엔 북방계와 남방계가 섞여 ...
해적왕 잭의 지도 정복기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228
Q : 우주측지연구소가 하는 일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 우주측지연구소는
아시아
에서 유일한 IGS 국제데이터센터입니다.
아시아
나 호주 지역의 GPS 정보는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 이 자료가 필요하다면 우리에게 부탁해서 얻어가야 합니다. 또한 우리나라만의 국제GPS기준점을 가진 것도 중요하지요. 예전 ...
동요나라엔 불가능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28
연결되어 있었어. 아메리카 인디언은 바로 빙하 다리를 타고 건너간
아시아
사람의 후손이란다. 빙하 다리를 건너 수많은 동물이
아시아
에서 아메리카로 갔단다.우리나라와 일본을 잇는 해저터널도 구상하고 있으니까 미래에는 자동차를 타고 일본에 갈 수도 있어. 아빠의 얼굴 "어젯밤 꿈속에 나는 나는 날개 달고 구름보다 더 높이 올라올라 갔지 ...
우리가 몰랐던 돈의 비밀(3)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131
나라마다 다른 화폐 단위를 통일하면 어떨까요? 이미 유럽의 여러 나라들은 ‘유로’라는 단위로 화폐를 통일해서 쓰고 있답니다.
아시아
의 국가들도 환전의 불편함 때문에 서서히 통일 화폐를 만들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해요. 그 이름이 바로 ‘아쿠(ACU : Asian Currency Unit)’랍니다. *과학자는 화폐에 등장하는 단골 인물 {BIMG_ ...
소나무가 죽어 간다(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131
내성을 갖게 되었지요. 그러나 물류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소나무재선충병은 전 세계로 급속히 퍼져나갔고, 병에 대해 무방비 상태인
아시아
와 유럽의 소나무숲은 손 쓸 겨를도 없이 쓰러져 갔어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소나무재선충병이 발견된 것은 1988년입니다. 당시 부산 금정동물원에서 일본원숭이를 들여온 것이 문제였어요. 원숭이를 운반하는데 사용된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1)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11
아직도 생생한 가운데 또다시 지진의 공포 속에 던져진 사람들은 물과 음식의 부족으로 고통 받고 있다. 이번에 지진이 발생한 남
아시아
지역은 판구조론으로 볼 때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만나는 곳이라 지질학자들이 오래전부터 강진을 경고해 왔다. 판구조론은 거대한 지각을 형성하는 10여개의 판이 맨틀 지표와 지구 중심 핵 사이의 유연한 부분 위를 매우 ...
용수철과 탄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031
됩니다. 무게를 재는 데 사용하는 저울을 최초로 발명한 것은 아르키메데스 시대보다 훨씬 앞선 기원전3500년 경이랍니다. 고대 중앙
아시아
에서는 돈 대신 금이 사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무게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했던 거예요 ... ...
이전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