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향해"(으)로 총 555건 검색되었습니다.
- 흐린 날씨는 미역 탓?어린이과학동아 l20080530
- 허블망원경이 촬영한 자외선 사진이지요. 토성은 약 30년에 한 번씩 태양 주위를 돌아요. 지구처럼 기울어져 돌고 있지요. 지구를 향해 토성이 최대로 기울어지는 각도는 27。로, 이 때 토성의 남극과 토성 고리의 남쪽면을 가장 잘 볼 수 있어요. 이 사진은 2003년, 토성이 최대로 기울어졌을 때 허블망원경이 촬영한 자외선 사진이랍니다. [소제시 ...
- 에이~,요! 식물도 힙합을 즐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무려 5시간 동안이나 힙합을 췄다는 말인가? 정말 대단한 경지로군.” “이런! 그게 아니라 빛 때문에 움직인 거예요. 식물은 빛을 향해 움직이는 성질을 갖고 있어요. 빛을 받아야 영양분을 만들어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죠.” 큰그림 보러가기 [소제시작]사건 분석2_만지면 움직인다?[소제끝] 설명을 들은 사뿐히 양은 그래도 고개를 절레절레 흔든다. ...
- 거꾸로 솟는 고드름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080214
- 그래서 고드름을 잘라 단면을 보면 나무의 나이테 같은 무늬를 볼 수 있답니다.” “그렇다면 고드름은 땅을 향해 자라야지 하늘을 향해 솟아오를 수는 없잖아요?” “솟아오른다…. 솟아…. 솟아오른다?” 뭔가 떠오른 듯 닥터고글이 유리컵을 가져와 찰랑찰랑 물을 채운다. “궁금할 땐 직접 실험해 보는 게 최고예요. 자, 보세요. 컵에 물 ...
- 지구위에 꽃핀 예술어린이과학동아 l20071229
- 아니에요. 자연이 그린 그림은 그보다 훨씬 더 크고 멋지답니다. 멕시코에 있는 시에라 마드레 오리엔탈 산맥의 모습이에요. 하늘을 향해 날아오르는 새의 모습이 역동적이죠? 02 자연이 그린 상상 속의 동물이에요. 호주에 있는 이 사막은 덤불과 바위, 모래로 이루어져 있어요. 자연은 이 곳에 모래를 이용하여 봉황을 그려 놓았어요. 어두운 빛깔의 ...
- 2008년 첫 과학짱_소희와 승수의 신나는 새해!어린이과학동아 l20071229
- 많은 도움이 돼. 과학시간에 ‘어린이과학동아’에서 쉽고 재밌게 설명해 준 내용이 나오면 이해가 잘 되거든. 2008년에도 내 꿈을 향해 열심히 달려갈 거야. 친구들도 나도 파이팅! [소제시작]2008 과학짱 이승수[소제끝] 야호~! 신나는 현재 만나서 반가워! 내가 과학짱이 된 걸 알고 처음엔 정말 기분이 얼떨떨했어. 2008년 첫 과학짱이라니 ...
- “이리 와 이리 와”좀비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수직으로 뜨고 내릴 수 있어요. 회전날개가 위를 향해서 돌면 사뿐하게 수직으로 떠오른답니다. 공중에 떠오르면 회전날개가 앞을 향해 돌면서 비행기처럼 빠르게 날아가지요. 1시간에 무려 150㎞나 갈 수 있어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원래 계획한 항공기의 40% 크기인 이 무인항공기를 계속 연구해 2009년에는 시속 500㎞까지 내도록 ...
- 홀라당~ 뒤집힌 무지개?어린이과학동아 l20070412
- 해무리가 생기는데, 높은 층에 있는 얇은 판 모양의 육각기둥 얼음결정에서는 천정호가 만들어진다. “육각기둥의 밑면이 아래쪽을 향해 있으면 빛은 위의 그림에서처럼 들어와 꺾이게 됩니다. 이 때 윗면에서 한 번, 옆면에서 한 번 모두 두 번 굴절하게 되지요.” “이 때는 무지개와는 달리 보라가 더 많이 꺾이는군요!” “한 얼음결정의 옆면으로 빛이 ...
- 우주로 이사 가는 날! (1)어린이과학동아 l20070111
- 물과 이산화탄소가 언 상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사실은 생명체가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이어져 인류는 계속해서 화성을 향해 가고 있다. 물론 화성은 대기가 희박해서 지표면으로 물이 나올 경우 바로 끓어서 없어지지만, 2005년에 화성 표면을 찍은 사진에서 물이 흐른 것처럼 보이는 흔적이 발견되면서 화성에 물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 ...
- 매직 크리스마스! - 3개의 선물상자를 열어라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4
- 했다. 2. 청링수(미국, 1861-1918) : 특기_총알 잡기 미국인이면서도 중국인 행세를 하면서 마술을 했다. 총알에 표시를 한 뒤 마술사를 향해 총을 쏘게 하여 날아오는 총알을 잡는 마술로 유명해졌다. 이 때 관객이 마술사가 잡은 총알의 표시를 확인하게 하여 더욱 놀라게 하였다. 그러나 불행히도 1918년 3월 23일, 마술 공연 도중 ...
- 화산섬에서 과학과 놀다어린이과학동아 l20061128
- 잘 통하지 않는 부도체잖아요. 반대로 금이나 구리는 전류가 잘 통하는 도체고요. 하지만 아주 센 전류라면 가능합니다. 큰 유리판을 향해 100만 볼트의 벼락을 만들어 쏘자 전류가 유리를 통과했어요. 벼락 치는 날 자동차 안은 안전할까요? 금속은 전류를 잘 통하는 도체이기 때문에 위험할것 같다고요? 이 궁금증도 실험으로 확인했어요. 자동차에 벼락 ...
이전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