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리
수레바퀴
차륜
타이어
굴레미
링
반지
뉴스
"
바퀴
"(으)로 총 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정강이와 발 밑에
바퀴
도 달았다. 두 발로 걷다가 무릎을 꿇고 앉으면 자동차처럼
바퀴
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변신 기능’을 넣었다. 시각처리 능력이 극도로 좋아진 것도 이번 모델의 자랑거리다. DRC휴보Ⅱ의 머리에는 레이저 스캐너와 광학카메라를 모두 달아 흐리거나 햇빛이 강한 날에도 ... ...
7월 1일, 내일 하루는 24시간 1초
2015.06.30
1초를 더하는 윤초(閏秒)가 시행되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하루라는 시간은 지구가 한
바퀴
회전하는 자전주기를 기준으로 한다. 하지만 1967년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세슘원자가 진동하는 주기를 기준으로 1초를 새로 정의하면서 문제가 생겼다. 지구의 평균 자전주기는 세슘원자시계를 ... ...
진드기 기르는 남자 vs.
바퀴
벌레 기르는 남자
2015.06.25
형태로 바꿔주는 것도 연구팀의 일이다. 가끔 ‘배설물’만 달라고 하는 곳도 있다.
바퀴
벌레라면 체에 걸러 주면 되지만 진드기라면 현미경을 보며 붓으로 배설물을 직접 골라야 한다. ... ...
[휴보, 로봇 올림픽 우승] 44분 28초 만에 8개 임무 ‘퍼펙트’
2015.06.08
말했다. 정강이와 발밑에
바퀴
도 달았다. 두 발로 걷다가 무릎을 꿇으면 자동차처럼
바퀴
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변신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권인소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시각처리 프로그램을 휴보에게 이식해 휴보가 카메라와 레이저로 주변을 촬영하면 이 데이터를 더욱 ... ...
명왕성 주위를 도는 위성의 원동력은?
2015.06.07
제공 톱니
바퀴
와 천체. 이번주 ‘네이처’ 표지는 태양계를 기계 장치처럼 표현했다. 금색 톱니 위에 있는 가장 큰 천체는 얼마 전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된 명왕성이고, 명왕성 옆으로 나란히 있는 천체는 명왕성의 거대 위성으로 알려진 ‘카론(Charon)’이다. 나머지 4개는 명왕성의 ... ...
[재난로봇 올림픽, 최종 리허설] 한국로봇 우승 가능성 한층 더 커졌다
2015.06.05
비틀어 열고 실내(가상의 오염된 공장)으로 들어선 휴보는 즉시 벽에 붙은 밸브를 두
바퀴
돌려 잠궜다. 차량에서 내리고 있는 ‘휴보’. 스스로 차에서 내릴 수 있는 로봇은 전 세계적으로 몇 대 되지 않는다. - KAIST 제공 다음 미션은 벽 선반에 놓여진 전동공구를 집어 들어 벽에 둥근 구멍을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29
공학베개’도 전시되어 있어요. 베개 옆에 있는 둥근 손잡이를 돌리면 기어와 톱니
바퀴
, 크랭크 같은 84개의 부품들이 움직이면서 베개의 모양이 바뀌어요. 사람마다 다른 머리 모양과 높이에 맞춰 높이 베개의 높이를 1mm씩 조절하는 거지요. 기자들은 과학관을 둘러보며 공학베개처럼 일상생활에서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팍스 로보티카’를 위한 로봇 기술
2015.05.23
때문에 과학자들은 로봇을 우주 탐사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러시아는 1970년 세계 최초로
바퀴
가 달린 탐사용 로봇 ‘루노호트 1호’를 달로 쏘아 올려 달 표면에서 10.5㎞ 이동시키는 데 성공했다. 1973년엔 ‘루노호트 2호’를 이용해 달 표면에서 37㎞를 누비며 카메라와 X선 측정 장치 등을 이용해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공기방울-분뇨로도 전기 만들어요
동아일보
l
2015.05.13
놓으면 자성을 띠고 끈적끈적해지는 액체를 말한다. 충격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자동차
바퀴
의 충격을 막아주는 장치에 많이 쓰인다. 연구팀은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했다. 전자기 유도는 전기가 흐르는 곳 주변에 자기장이 생기고, 자기장의 방향이나 크기가 변하면 주변에 전류가 흐르는 ... ...
냉장고가 저절로 걸어오는, 2035년 미래 전망
2015.05.08
반드시 한 자리에 둘 이유도 없어진다. 침대에서 호출만 하면 냉장고나 TV에 달린
바퀴
가 굴러와 앞에 멈춘다. 거실에 잔뜩 늘어놓은 리모컨도 사라진다. 모든 가전기기가 말을 알아듣는 데다, 손을 허공에 대고 움직이면 카메라로 인식하는 3D 터치기술도 상용화되기 때문이다. TV 채널을 말이나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