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뉴스
"
세균
"(으)로 총 976건 검색되었습니다.
집단지성으로 신약 개발하는 ‘타깃 팩토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tRNA 합성효소(WRS)”라며 “WRS가 세포 밖으로 나와 면역세포인 대식세포에게
세균
감염을 가장 먼저 알리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혈액 내 WRS의 양을 측정하면 패혈증 진단뿐 아니라 치료 예후, 사망률도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제이더블유바이오사이언스에 ... ...
[이강운의 곤충記]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지구의 근심 덜어줄까
2019.06.05
플라스틱을 먹고, 쥐와 같은 소형 동물 실험에 대한 윤리적 대체방안인 병원성
세균
의 동물 모델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꿀벌부채명나방이나 은무늬줄명나방의 실효성을 생각하면 털 많고 귀찮은 나방이 아닌 가장 진화 된 동물로 대접받을 만하지 않은가! 곤충학자로서 욕심을 내 본다. 게다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체내 미생물의 바다 '마이크로바이옴'
동아사이언스
l
2019.06.01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등 특정
세균
이 과다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임신 초기에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하면 조기분만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
매년 50만 명 희생 ‘A군연쇄상구균’ 백신 개발 추진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매년 50 만 명의 생명을 앗아가는
세균
성 감염병인 A군연쇄상구균(GAS)을 막을 백신 개발이 추진된다. 국제백신연구소(IVI)는 호주 머독아동연구소(MCRI)와 공동으로 GAS 백신을 개발하고 이를 제조할 제조사 확보에 착수한다고 31일 밝혔다. IVI는 이를 위해 영국의 비영리 의료재단인 ... ...
식중독·파상풍균 검출 쉬워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과정으로 다양한 그람양성균을 살아있는 상태로 탐지할 수 있다”며 “폐수 모니터링과
세균
감염 진단 등 여러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생존률 1% 환자 생명 구한 '바이러스 칵테일'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하루 두 번씩 6주간 주사한 결과
세균
감염 증상인 피부 반점과 상처가 사라지고 체내
세균
수도 급감했다. 의료진은 완치하려면 적어도 32주 동안 치료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연구를 이끈 스펜서 전문의는 "과거에도 파지를 이용한 치료법이 있었지만 사용하기가 훨씬 쉬운 항생제가 탄생하면서 ... ...
어린시절 무심코 먹은 항생제가 거식증·폭식증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6
발병한다는 그동안 학계의 정설에 새로운 사실을 더한 셈이다. 연구팀은 향후
세균
감염과 항생제 치료가 식이습관 등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추가 연구를 할 계획이다 ... ...
[과학기자의 생생임신체험記] 생애 첫 임신, 화학적 유산으로 마무리 짓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4
세균
을 항원, 면역 물질을 항체라고 한다. 모양이 꼭 들어맞는 항원과 항체가 만나면
세균
은 병원성을 잃는다. 임신 테스터 내부에는 색깔을 나타내는 나노 입자가 부착된 ‘hCG 항체’가 들어 있다. 이 항체는 소변을 흡수시키면 소변과 함께 흘러 들어간다. 대조선에는 ‘hCG 항체의 항체’가 들어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③ 게임보다 더 직관적인 로봇 외과의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5.03
다시 절개했던 부분을 꿰매는 방식이다. 하지만 회복까지 오래 걸리는 데다 과다 출혈,
세균
오염의 위험이 있었다. 1980년대에는 복부에 1~1.5cm 정도인 구멍을 3~4개 뚫어 카메라와 수술 기구를 넣는 복강경 수술이 보급됐다. 절개 부위가 작아 수술 후 통증이 적었고 회복도 빠른 데다 상처도 비교적 ... ...
기생충 분비물도 약에 쓴다…日연구진, 다이어트 약품 개발 추진
연합뉴스
l
2019.04.24
확인됐다. 연구팀은 기생충이 모종의 물질을 분비해 비만 해소에 도움이 되는 장내
세균
을 증식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시모카와 교수는 "기생충이 분비하는 물질을 밝혀내고 인체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게되면 이 물질을 이용한 다이어트 약품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