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지가지
갖가지
제반
모든것
각반
각종
뉴스
"
여러가지
"(으)로 총 2,954건 검색되었습니다.
UAE 화성임무 책임자 "우주개발 국가경쟁 아냐...인류 위한 협력 계속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3.09
UAE 엔지니어들이 화성 탐사선 알 아말을 점검하고 있다. 에미리트화성미션 제공 “많은 사람이 우주 임무를 국가적 자부심으로 보고 경쟁하는 경향이 있지만, 우리는 협력의 결과물로 봅니다. 폭넓은 협력이 있었기에 화성탐사선 개발도 짧은 시간에 끝낼 수 있었습니다.” 지난달 22일 아랍에미 ... ...
美 연구진, 생체 분자시계 돌려 중년 쥐 세포 회춘시켜
동아사이언스
l
2022.03.09
솔크연구소 제공 미국 연구진이 세포 속 분자시계를 되돌려 쥐의 신체나이를 낮추는 데 성공했다. 연구를 진전시키면 사람의 노화로 생기는 질병을 에방하는 데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솔크연구소와 생명공학 기업 제넨테크 등 공동연구팀은 쥐 세포에 특정 유전자 조합을 넣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22.03.0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잠들면 업어가도 모른다’는 말이 있다. 예전에는 별 감흥이 없었던 비유적 표현이었지만 요즘은 그랬던 시절이 그립다. 서너 시간 자고 나면 거의 예외 없이 잠이 깨고 바로 잠들지 못하는 날들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 수면의 질이 떨어지기 마련이라지만 벌 ... ...
국내선 최다 확진인데 코로나 팬데믹 종식 논의 '스멀스멀'
동아사이언스
l
2022.03.06
게티이미지뱅크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1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에 대한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다. 이후 3개월마다 WHO 전문가자문위원회가 소집돼 PHEIC 선언을 유지해야 하는지 논의했다. 만장일치로 선언 유지에 동의해왔으나 최근 미국과 영국 ... ...
O형이 코로나19 위중증·사망 위험 낮은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4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채취한 혈액 샘플.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그동안 논란이 됐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과 혈액형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A형이 코로나19에 더 잘 감염된다거나 중증 환자로 진행될 가능성이 많다는 등 상관성이 높다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자연에는 두 종류의 입자가 있다
2022.03.03
고전역학의 세계에서는 같은 입자라도 번호를 붙여 모든 입자의 궤적을 끝까지 추적할 수 있다. 하지만 양자역학에서는 원리적으로 불가능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4구 당구에서는 빨간 공이 둘, 흰 공과 노란 공이 각각 하나씩 있다. 흰 공이나 노란 공으로 빨간 공을 모두 맞히는 것이 4구 당구 ... ...
10만년전 조상부터 현생 인류까지 잇는 역대 최대 규모의 '인류 족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8
고대와 혀대의 인류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과 공간에 따라 추론한 인류 가계도를 시각화했다. 각각의 선은 부모와 자손 간의 관계를, 선의 굵기는 이런 관계를 관찰한 횟수를 나타낸다. 선의 색깔에 따라 관계를 관찰한 연도도 나눴다. 영국 옥스퍼드대 제공 역대 최대 규모의 인류 유전체 족 ... ...
[르포] 미래는 상상하고 설계하며 실행하는 국민에게 있다...두바이 새 랜드마크 미래박물관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UAE 미래박물관 내 치유연구소에는 2400여종의 생물이 유리병 안에 디지털화된 생물 표본 형태로 담겼다. 관람객이 상호작용 기기로 유리병을 스캔하면 해당 생물의 정보를 알 수 있고, 그 생물에 새로운 특성도 부여할 수 있다. 두바이=서동준 기자 어두컴컴하고 커다란 공간에 무려 2400개에 달하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의 재현성 위기와 보통과학자의 송곳
2022.02.24
2012년 미국 제약사 암젠사의 연구원이던 글렌 베글리는 리 엘리스와 함께 “전임상 암 연구의 기준은 높아져야 한다”라는 제목의 글을 네이처에 기고한다. 베글리 박사는 그동안 전세계 유명 대학과 연구소에서 쏟아져 나온 암에 관한 연구들 대부분이, 엄격한 잣대를 들이댈 경우 신약개발에 ... ...
[KAIST ISPI국제포럼]"국가 필수전략기술, 선택과 집중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22.02.24
김진우 KAIST 혁신전략정책연구소 교수는 24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2022 글로벌 기술전략포럼’에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유튜브 캡쳐 미중 기술패권 경쟁을 중심으로 신냉전 구도가 펼쳐지며 글로벌 가치 사슬의 재구성이 이뤄지고 있다. 각 국은 이런 상황에 따라 전략기술을 중심으로 향후 국가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