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뉴스
"
줄기
"(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벼와 모양 비슷한 사초과 식물 2종 세계 최초 발견
연합뉴스
l
2020.08.04
수행해왔다. 이번에 발견한 신종 식물 2종은 사초과에 속한다. 사초과는 벼과와 잎이나
줄기
등의 형태가 비슷하지만 종을 분류하는 가장 중요한 형질인 열매가 익는 기간이 2∼3주로 짧다. 익으면 열매는 떨어지고 잎만 남아 정확한 분류가 어렵다. 이런 이유로 2015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발굴한 ... ...
암 전이 막는 항암요법·나노 입자 결합 기술...'인류 삶 바꿀 난제' 연구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지배하던 상피-중배엽 전이(EMT) 이론을 설명한 그림이다. 고형암의 암세포가 중간엽
줄기
세포의 특성을 얻어 부착력을 잃고 부유해 다른 기관이나 조직에 가 부착력을 얻어 전이된다는 이론이다. 하지만 연세대 연구팀은 이 이론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세포 부착-부유 전이(AST)' 이론을 창안했다. ... ...
좀비영화 속 바이러스 대분석
과학동아
l
2020.08.01
손상돼 뒷다리를 못 쓰는 쥐에게 이 신경세포를 주입했다. 그러자 신경이 재생됐다.
줄기
세포를 이용해 척수 신경을 되살려 사지 마비 환자가 다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연구는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기술이 실제로 사람에게 적용할 수 있는 치료제로 만들어지기까지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적 인본주의자의 길
2020.07.30
생물학자로서의 정체성을 통해 인본주의자가 된 이 동물행동학자가 인간배아
줄기
세포 연구를 대하는 고결한 논리와 신념이 녹아 있다. 그는 막스플랑크연구회의 총재로 나치의 생체실험을 사과했음을 밝히면서도, 꼭 필요한 치료목적의 연구를 위해 인간배아연구는 부분적으로 허용되어야 한다는 ... ...
툴젠, 엔세이지에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원천 기술이전
연합뉴스
l
2020.07.28
툴젠은
줄기
세포 치료제 개발회사인 엔세이지에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 원천 기술을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유전자가 ... 계획하고 있다. 이번에 도입하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적용해 유전자교정
줄기
세포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을 할 예정이다. ... ...
하버드 의대 연구진 "신종 코로나, 후각 뉴런 공격 못 한다"
연합뉴스
l
2020.07.28
생성 코드를 가진 유전자는, 후각 지각 뉴런이 아니라 뉴런 지지 세포와 기저세포(상피
줄기
세포)에서 발현했다. 후각 지각 뉴런에선 대신,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의 숙주세포 진입과 연관된 유전자가 발현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후각 지각 신경세포를 곧바로 공격하지 못한다는 걸 ... ...
코로나 치료제 평가해보니…렘데시비르·덱사메타손 '선두'
연합뉴스
l
2020.07.17
억제제와 역시 사이토카닉을 막기 위한 혈액정화기 '사이토소브'를 사용하는 치료법,
줄기
세포를 활용한 치료법 등은 코로나19 증상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는지 모호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기타 치료법 가운데 코로나19 환자를 엎드리게 해 기도(氣道)를 여는 조처(Prone positioning)와 인공호흡기 등 ... ...
줄기
세포·유전자치료제 투여환자에 대한 장기 추적조사 의무화
연합뉴스
l
2020.07.15
8월 28일 시행…위해 인체 세포 전량 회수·폐기해야 앞으로 바이오 업체는 자사의
줄기
세포치료제나 유전자치료제 등 바이오의약품을 투여한 환자를 의무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추적 조사해야 한다. [연합뉴스TV 제공] 바이오의약품 사용으로 환자에게 생길지 모르는 부작용과 위험을 ... ...
이정호 교수, 뉴욕과학아카데미 과학혁신가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7.09
약2억3892만원)의 상금을 받는다. 이 교수는 희귀 발달성 뇌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뇌
줄기
세포 내 유전적 변이 관련 연구를 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후천적으로 생기는 뇌 돌연변이가 일으키는 난치성 뇌전증 발생원리를 밝혔다.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 돌연변이가 암 부위가 아닌 암에서 멀리 ... ...
"
줄기
세포가 분화해 무엇이 될지, 사실상 RNA가 결정한다"
연합뉴스
l
2020.07.08
심근처럼 박동하지 않다가 PRC 2가 복원되자 다시 정상적으로 행동하기 시작했다.
줄기
세포 분화 과정에서 RNA가 핵심 역할을 한다는 건 이런 과정을 거쳐 입증됐다. 유전적 변이로 생기는 특정 유형 암과 태아기 심장 이상 등의 RNA 표적 치료가 가시권에 들어온 순간이기도 했다.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