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미니
뉴스
"
초소형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배터리 필요 없는 초박형 피부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05
C).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국내 연구진이 배터리 없이 무선 통신으로 구동 가능한
초소형
피부 센서를 개발했다. 스마트폰 안테나에서 전자기파를 받아 전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생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승용 아주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김정현 광운대 ... ...
수소연료 안심 사용에 한걸음 더...
초소형
수소감지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04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KAIST 제공. 수소 누출 여부를 손쉽게 감지할 수 있는
초소형
‘수소센서’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수소는 폭발이 잘 일어나는데다 가볍고 누출을 막기도 쉽지 않다.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려면 안전장치에 쓸 고성능 수소 센서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 ...
지구 위협하는 우주 쓰레기… 매년 100t씩 하늘서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03
지구 대기권으로 끌고 와 연소시킨다는 계획이다. 에어버스는 이달 3일 그물을 탑재한
초소형
청소위성 ‘리무브디브리’도 발사했다. 일본 민간우주개발 업체인 아스트로스케일은 자석을 이용해 우주쓰레기를 끌어오는 청소위성을 2020년 발사할 예정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20년 발사를 ... ...
다이어트 식단관리, 패치형 치아 센서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18.03.22
차량의 무게와 속도 등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에 착안해 치아 표면에 붙일 수 있는
초소형
센서를 고안했다. 이번에 개발한 센서는 중심의 치아색과 같은 '생체반응층'과 그 주변에서 안테나 역할을 하는 '사각고리형 금층', 전파를 송신하는 '파란색 띠층' 등 세 개 층으로 구성된다. 생체반응 ... ...
애플, 비밀리에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자체 개발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18.03.19
역할을 하는 백라이트로 쓰였다. 반면 마이크로 LED는 5∼100μm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초소형
LED를 구현, LED 칩 자체를 화소로 활용한다. 애플은 2014년 럭스뷰를 인수하며 관련 기술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얻었다. 현재 미국 쿠퍼티노 애플 본사에서 차로 15분 가량 떨어져 있는 비밀 생산 시설에서 ... ...
“인공지능이 인류 멸망시킬 수도”…경종 울렸던 스티븐 호킹 박사
동아사이언스
l
2018.03.15
함께 태양계에서 4.37광년(약 41조 ㎞) 떨어진 ‘알파 센타우리’에 광속의 5분의 1 수준인
초소형
우주선 1000개를 보내는 ‘스타샷 프로젝트’를 발표하기도 했다. 당시 그는 “지구는 아름다운 곳이지만 영원할 수 없다. 인류의 미래를 위해 지구 밖 별들로 시선을 돌리고 우주로 계속 나아가야 ... ...
ETRI, 영화 50편 1초에 내려받는 5G 광통신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3.06
변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광수신기 소자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들 소자는 길이 2~3㎝의
초소형
으로 바로 상용화도 가능한 수준이다. 특히 데이터 전송 속도가 400Gbps(초당 400GB)로, 기존 소자(100GB)의 4배다. 통신 트래픽이 현재보다 4배 많아져도 송·수신 소자만 교체하면 수천 억 원에 달하는 ... ...
입 큰 여성의 최악 셀카
팝뉴스
l
2018.03.01
나타낸다. 포샵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한편 입이 큰 것이 아니라 주먹이 유달리
초소형
인 것은 아닌지 묻는 댓글도 보인다. 어느 쪽이건 사진은 독창적이지만 전혀 아름답지 않은 셀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는 것 같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KAIST, 세계 최고 성능 모바일용 인공지능(AI) 프로세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2.26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팀은 연구실 스타트업 유엑스(UX)팩토리와 공동으로 모바일 전용
초소형
인공지능 프로세서 ‘통합 인공신경망 딥러닝 처리장치(UNPU)’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13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국제고체회로설계학회(ISSCC)’에서 발표됐다. UNPU는 고속 ... ...
손바닥 만한 기계로 게놈 해독하는 나노포어 기술, 한 번에 더 긴 가닥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9
연구팀은 한 번에 최대 88만 쌍을 읽어 내는 데도 성공했다고 밝혔다. 나노포어 기술은
초소형
유전체 해독 기기를 만드는 데에도 유용하다. 해독기가 휴대용저장장치(USB메모리) 정도 크기에 불과해 연구자들이 어디든 들고 다니면서 쉽게 유전체를 해독할 수 있다. 2016년 지카바이러스 사태 때는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