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뉴스
"
해독
"(으)로 총 63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뇌피질 먼저 밝혀 한국 뇌 연구 이끌겠다”
2016.04.29
하나의 지도를 만드는 데 500일가량 걸린다. 미국 하버드대는 반나절이면 기둥 하나를
해독
하는 최첨단 현미경으로 앞서 가고 있다. 그는 “인간의 뇌에는 신경세포가 1000억 개 있고, 이들의 연결망을 확인할 수 있는 원천기술은 대부분 개발됐다”며 “누가 먼저 신경세포 연결망 지도를 ... ...
눈썹, 미간, 입꼬리…감정 확인하는 얼굴의 3대 지표
2016.04.24
교수는 “우리 뇌가 얼굴에 위치한 특정 근육의 움직임을 단서로 상대방 표정을
해독
한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라며 “이 같은 곳의 움직임에 집중해 사람의 표정을 읽어내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연구를 이어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나올 수도 있겠지만 역시 이럴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지금까지
해독
된 수많은 남성들의 Y염색체 게놈 데이터를 분석했지만 이런 경우가 없었다고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좀 더 가능성이 높은 설명으로 현생인류 여성이 네안데르탈인 남성과 관계해 남아를 임신했을 경우 ... ...
국립수산과학원 “참전복 게놈
해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6.04.05
이루어졌고 총 2만9449개의 유전자로 구성된 사실을 확인했다. 전복류의 유전체를 완전히
해독
한 것은 세계 처음이다. 북방전복은 같은 복족(腹足)류인 삿갓조개와 약 5억 년의 유전적 거리가 있으며 현재 형태의 북방전복은 약 1억 년 전에 출현한 것으로 추정됐다. 전복류는 전 세계적으로 70여 종이 ... ...
훨씬 정확한 ‘고릴라 게놈 지도’ 나왔다
2016.04.03
염기서열이 연속적이지 못하고 40만 개가 넘는 염기서열이
해독
되지 않은 것은 물론,
해독
한 염기서열의 정확도도 낮았다. 연구팀은 대표적인 고릴라 중 한 종인 서부로랜드고릴라를 선정해 실험을 진행했다. 게놈을 산산조각낸 뒤 조각을 끼워 맞추는 이전 방식 대신 최신 게놈 시퀀싱 기술인 ‘롱 ... ...
‘알파닥’이 의사를 대신?... “우리 아이 의대 보내? 말어?”
2016.03.26
불과 수십 년 전만 해도 상당수의 의학용어는 라틴어로 기록되었습니다. 도무지
해독
하기 어려운 고대어로 기술된 증상과 진단, 치료가 담긴 차트는 의사라는 직업의 독립적 지위에 대한 상징과도 같았습니다(악필도 한 몫 했습니다). 그러나 지난 5000년 간 공고하게 유지되던 의료계의 분위기가, ... ...
유전자 473개, 실험실에서 합성한 인공생명체 탄생
2016.03.25
알려진 가장 작은 생명체인 마이코플라스마 제니탈리움(Mycoplasma genitalium)의 게놈 전체를
해독
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1999년 제니탈리움이 전체 게놈의 75%만 보유하고 있어도 생존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벤터 박사는 이때부터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게놈의 최소량에 ... ...
2016년 ‘수학의 노벨상’ 아벨상에 英수학자 와일스
동아일보
l
2016.03.17
간단하지만 300년 이상 풀리지 않고 있다’는 내용을 우연히 접하고 ‘페르마 정리’
해독
을 평생의 목표로 삼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정리를 풀면서 다른 사람과 의견을 교환하면 ‘마지막 정리 해결에 나섰다’라는 소문이 날 것을 걱정해 비밀리에 풀이에 매달려 7년 만에 풀어냈다. 와일스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
2016.03.07
논란이 끝났다. 같은 해 역시 고게놈 연구로 데니소바인이라는 미지의 인류의 게놈이
해독
됐고 동아시아와 특히 오세아니아 사람들에게 이들의 피가 섞였다는 놀라운 사실도 밝혀졌다. 게놈서열을 바탕으로 추정을 하자면 먼저 현생인류의 조상과 네안데르탈인/데니소바인의 조상이 55만~76만 년 ... ...
비타민을 먹어도, 자고 나도 계속 피곤… “간이 피로하군요”
동아일보
l
2016.02.29
개선제다. 이 성분은 체내에 이로운 담즙산 성분으로 간 내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한편
해독
작용을 활성화해 유해 독소와 노폐물의 신속한 제거를 돕고 간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비타민 영양제와 함께 복용하면 피로 해소에 한층 더 효과적이다. 이지은 기자 smiley@donga.com [화제의 뉴스]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