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기
원인
기구
도구
근거
요인
요소
스페셜
"
계기
"(으)로 총 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전하게 우주 비행하기
KISTI
l
2014.07.02
곳이다. 최대 3명까지 탑승할 수 있다. 귀환 캡슐에는 우주선의 비행 상태를 보여주는
계기
판과 같은 기록하고 측정할 수 있는 각종 장치와 귀환할 때 쓰는 낙하산, 우주인이 앉을 수 있는 의자가 설치돼 있다. 우주 비행사가 앉는 특수 의자는 우주선이 발사할 때와 착륙할 때 충격을 흡수하도록 ... ...
알지 못하던 찰나를 보는 레이저 과학
IBS
l
2014.06.10
사진 동물들의 실제 움직임이 사람들이 흔히 알고 있는 바와 다르다는 사실을 깨달은
계기
는 일련의 연속 사진이었다. 영국의 사진가 이드위어드 머이브릿지(Eadweard Muybridge)는 19세기 중후반에 활발히 활동했던 작가다. 미국 요세미티 계곡의 사진으로 잘 알려진 그는 1872년, 지인인 릴랜드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지우라는 말이다(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한편 좋은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거꾸로 ‘
계기
’를 부각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아침에 운동을 하기로 했다면 전날 밤 현관 앞에 운동화를 갖다 놓는 식이다. 말이 쉽지 실천은 어려운 방법이다. 오랫동안 습관과 강박행동의 뇌과학을 연구하고 있는 ... ...
리니지로 온라인 게임 시대를 열다
KAIST
l
2014.05.26
일이 게임 프로그래머라고 생각했고, 2003년부터 엔씨소프트에서 근무를 시작한 것을
계기
로 게임 개발자가 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카이스트에 다니면서 기억에 남는 것은 무엇일까요? 저는 친구들과 함께한 시간이 가장 소중했고 기억에 많이 남아요. 카이스트에서 크고 작은 과제들을 같이 ... ...
대장균에서 휘발유를 뽑아낸다!
KAIST
l
2014.05.16
더 훌륭하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생물에 의한 가솔린 생산법 연구, 그 시작의
계기
MBEL에서는 소위 ‘조금 더 해서 더 쉽게 할 수 있는 연구’를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다시 말해, 이미 누군가가 해 놓은 연구에 조금 덧붙여서 성과를 내는 연구는 하지 않는 것이다. 이 교수의 연구팀은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
KISTI
l
2014.05.14
포함됐다. ■ 대항해 시대와 괴혈병 2차 항해는 쿡의 이름을 세계적으로 높이는
계기
가 되었는데 그것은 당대의 항해에서 고질병이었던 괴혈병을 치료하는 선구자가 됐기 때문이다. 15세기 들어 대형 선박으로 원(遠)거리 항해가 가능해지자, 오랜 항해 동안 저장 음식에 의존하자 괴혈병이 생기기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글들을 읽어보면 유방암이 만만치 않은 적수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특집의
계기
가 된 유방암 유전자인 브라카1과 이듬해 발견된 또 다른 유방암 유전자인 브라카2를 합쳐도 두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의 5~10%에 불과하다고. ‘또 다른 유방암 ... ...
[기술이 바꾼 미래] 밤을 낮으로 바꾼 전등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4.29
아니라 ‘무언가 소비자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는 중요한 명제를 깨닫는
계기
가 되었다. 두 번째 특허는 ‘주식상장 표시기’였는데 남북전쟁 직후 투기 붐이 일어 그는 상당히 큰돈을 벌었고 그후 갖가지 발명품을 팔아 1876년 뉴저지 주의 먼로파크에 거대한 응용과학연구소를 세우면서 ... ...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차이를 꽃구조의 차이로만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식물 변태론으로 이끈
계기
가 된 기형 꽃을 피우는 장미가 기생 박테리아의 농간으로 만들어진 좀비 식물이라는 사실을 괴테가 알았다면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 ...
[재미있는 특허이야기] 시각장애인을 위한 자동차를 만들다
KOITA
l
2014.04.17
말할 필요도 없다. 로봇 과학자인 홍 박사가 시각장애인용 자동차를 만들게 된
계기
는 2007년 ‘다르파 어반 챌린지(DARPA Urban Challenge)’다. 이 대회에서 홍 박사는 혼자 운전하는 로봇 자동차, 즉 무인자동차를 만들어 3등을 차지했는데, 이 소식을 들은 미국시각장애인협회(NFB)가 연락을 해왔다.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