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지"(으)로 총 6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2018.08.11
- 능력, 겉모습과 다른 이면을 캐치할 수 있는 능력은 복잡한 세상에서 정말 옳은 것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이정표일지도 모르겠다. GIB 제공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2018.07.07
- 외향적인 사람들(높은 에너지)에 비해 배터리가 빨리 닳을 수는 있겠다. 쉽게 지치기 때문인지 내향적인 사람들은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느낄 즐거움을 실제보다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Zelenski et al., 2013). 연구자들은 다음으로 외향적이고 행복한 사람과 내향적이고 행복한 사람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성향인 사람이 이 벽화를 그렸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폐 성향인 사람이 보이는 고도의 인지능력 가운데 하나가 사진 같은 시각 기억력과 대상을 3차원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공간 지각력이다. 이들은 특히 디테일에 강하고 여러 장면을 겹쳐 그리는데도 능하다. 연구자들은 아이들을 대상으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 나이 먹도록 아무 것도 한 게 없어?2018.06.16
- 실제로 자신을 향한 응원을 잘 받아들이는지의 여부가 타인을 진심으로 응원하는 편인지의 여부와 관련을 보이기도 한다(Cosley et al., 2010). 삶은 누구에게나 쉽지 않고 우리는 누구나 각자의 짐을 지고 긴 여행을 하는 여행자들이다. 그 길에서 나의 길, 또 타인이 걸어온 길이 쉽지 않았음을 바라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 밝혀졌다. 즉 감정이나 감각, 운동을 관장하는 영역은 완만하게 커진 반면(파란색) 인지와 디폴트모드네트워크에 관여하는 신피질은 가파르게 증가했다(빨간색). 그 결과 뇌를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대사 비용이 크게 늘어야 한다. -‘사이언스’ 제공 즉 전전두엽과 외측 측두정엽(temporoparietal), 내측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홍대 누드모델 몰카' 사건에 주목하는 또다른 이유2018.05.19
- 남성이 당하자 비로소 ‘어떻게 이런 일이!’라며 불법 촬영의 심각성을 처음으로 인지하는 듯한 반응을 보이고 또 비로소 ‘혐오 범죄’라는 이야기를 하기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범죄들이 여성을 대상으로 저질러져왔을 때에는 시큰둥 하다가 갑자기 해당 범죄의 심각성에 ... ...
- [사이언스지식IN]남북 협력으로 북한 산림 푸르러질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5.09
- 총동원령을 발동하기도 했습니다. 집권 초기부터 꾸준하게 산림복구를 시급한 현안으로 인지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오늘은 현재 북한의 산림 현황과 향후 협력 방안에 대한 이야기를 모아봤습니다. Q1. 북한 산림 생태계 현황은 어떤가? 북한은 1990년대 사회주의 경제체제가 무너짐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이 지나치게 통제하는 부모의 공통점2018.05.05
- 독립심을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으로 받아들이기보다 본인으로부터 벗어나려는 것으로 인지하고 서운함이나 두려움을 먼저 느낀다. 인간관계에서 전반적으로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강한 편이기도 하다. 분리불안이 높은 부모들은 자녀의 자율성과 독립심을 억압하거나 자녀가 자신을 대하는 ...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동아사이언스 l2018.04.26
- 소뇌가 클수록 언어 처리 능력, 집중력, 자신의 상황에 맞게 지식을 재구성할 수 있는 인지유연성 등이 뛰어남을 확인했다. 오기하라 교수는 “소뇌의 해부학적인 차이는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의 사회적 능력에 중요한 차이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뇌 구조의 차이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2018.03.17
- 사실을 무시하는 게 흥미로운 부분이다. 피해자의 귀책사유를 찾는 데만 특화된 이러한 인지적 편향은 성범죄자에게 ‘내가 이러이러해서 성폭력을 저질렀다고 하면 사람들은 내가 아닌 그 여성을 비난할 것이다’는 메세지를 주어 성범죄자로 하여금 높은 자신감과 당당함을 유지하게 돕는다.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