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4를 싫어하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이상하다는 거지? ✚ 사람들에게 가장 좋아하는 숫자를 물어 보면 1, 3, 7과 같이 여러
가지
숫자가 나오게 마련이야. 하지만 가장 싫어하는 숫자를 물어보면 다들 4라고 해. 죽음을 뜻하는 사(死)와 발음이 같다는 이유 때문이지. 장례식장 전화번호도 4444, 0444처럼 4가 많이 들어 있어. 심지어 “4월은 ... ...
빗자루 타고 하늘로 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어요. 거기에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어요. 우리가 알고 있는 전기력이나 자기력은 두
가지
힘으로 이뤄져 있어요. 하나는 서로 다른 극 사이에 작용하여 끌어당기는 힘인 ‘인력’이고, 또 하나는 서로 같은 극끼리 서로 밀어 내는 힘인 ‘척력’이에요. 이렇게 전기력과 자기력에 인력과 척력이 ... ...
과학교과서에서 찾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수학과 과학이 서로 어떤 관계인지 살펴보았다. 그러면 여기서 알 수 있는 한
가지
는? 딩동댕~! 수학과 과학이 이렇게 가까운 관계라면 수학을 알면 과학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사실! 수학 문제에도 과학적 상황을 예로 든 게 많기 때문에 두 과목의 공통점만 잘 알아 두면 두 과목을 모두 쉽게 ... ...
수학과 과학은 영원한 찰떡궁합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빛이 초점에 모여 선명한 상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망원경도 마찬
가지
다. 넓은 포물면으로 되어 있는 전파망원경은 희미한 전파를 반사시켜 한 점에 모은다.우리 생활에서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나 손전등이 포물선의 성질을 이용하고 있다. 헤드라이트나 손전등은 포물면과 ... ...
특성으로 살펴본 숫자 4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교수는 네
가지
색깔이면 충분하다는 ‘4색 문제’를 증명했어. 평면을 어떻게 쪼개든 네
가지
색깔이면 서로 구분할 수 있다는 뜻이야.2 사람이 한 번 보고 인식할 수 있는 숫자는 몇 개일까? 심리학자들은 어른이나 아이 상관없이 모두 4개 정도라고 말해. 다섯 자리 이상의 수는 한 번에 기억하기 ... ...
의뢰 3 마술의 비밀을 밝혀 주세요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있어요!모든 의뢰에는 수학이 숨어 있었군요. 딱딱할 것만 같은 수학이 장난스러운 면을
가지
고 있다니 친구들도 깜짝 놀랐죠? 거짓말 탐지기가 없이도 수학을 이용하면 놀라운 사실을 알아 낼 수 있고 알쏭달쏭한 문제도 척척 풀 수 있답니다. ‘수학동아’ 친구들도 우리 주변에 숨어 있는 수학 ... ...
무엇이든 바꿔 주는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따라서 함수를 f :X→Y표기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함수 기호는 y=f (x)다.지금부터 여러
가지
함수에 대해 살펴보자. 우선 일대일함수에 대해 알아보자. 일대일함수는 정의역의 원소 모두가 공역의 서로 다른 원소로 대응한 함수를 말한다. 일대일함수를 영어로 one-to-one function 또는 injective function이라고 .. ...
나도 회사의 주인이 될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주고 만기가 2011년 4월 5일인 액면가 100만 원짜리 채권을 샀다고 생각해 봐요. 이 채권을
가지
고 만기일인 2011년 4월 5일에 회사를 찾아가면 1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90만 원을 1년 동안빌려 준 대가로 100만 원 - 90만 원 = 10만 원의 이자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이자율은 $\frac{(100만 원 - 90만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과거 몇 세기 동안 큰 지진이 없었어도 큰 지진 일어날까큰 지진 전에는 몇
가지
전조가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전진(前震)이다. 전진은 거대한 단층면 중에서 일부분이 응력을 견디지 못해 작은 규모로 일어나는 지진이고 본진은 거대한 단층면이 한꺼번에 쪼개지거나 밀려서 나타나는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말처럼 발끝으로 걸었을 때는 무려 83%나 더 많은 칼로리가 들었다. 연구팀은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을 알아냈다. 같은 방식으로 걷지 않고 달릴 경우 에너지 소모량에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발뒤꿈치부터 내딛는 걸음걸이는 걸었을 때에만 유리한 방식인 셈이다. 캐리어 교수는 “이 결과는 인간이 ... ...
이전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