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척
진전
전진
과정
진출
진보
순서
d라이브러리
"
진행
"(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속 우리 땅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애국가 후렴구에는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이라는 구절이 나온다.삼천리는 한반도 남쪽 끝에서 북쪽 끝까지의 거리를 말하는 상징적인 뜻으로 우리나라 땅 모두를 의미한다. 하지만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우리 땅이 있다.바로 바닷속 깊이 숨어 있는 해저지형들이다.수년의 조사와 연구 끝에 ... ...
프랑스의 과학향기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이하 재불과협)를 조직해 프랑스 과학기술자들과 민간차원의 교류를
진행
하고 있다. 현재 재불과협 회장은 파리 국립자연사박물관의 박용향 교수다.재불과협은 1976년에 결성됐으며 처음에는 회원 간의 친목도모가 목적이었으나 지금은 한국와 프랑스 양국의 과학기술을 교류하는 민간 중재자로서 ... ...
2. 거꾸로 휘는 바나나킥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축구공의 지름보다 길면 공기 분자는 단순히 공의
진행
방향 앞쪽에만 모인다. 예를 들어 공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공기 분자가 공에 부딪치면서 공의 회전방향으로 튀어나간다. 그러면 공은 공기 분자가 튀어나간 방향과 반대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 ...
5. 뼈와 근육 줄어드는 아수라장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산소공급이 어려워져서인지 산소가 있어야 활동이 가능한 지속근의 퇴화가 빠르게
진행
되고 있다. 지속근은 마라톤선수에게 많은 근육이다. 축구선수에겐 생명과도 같은 근육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7月 10日_ 우승기념 퍼레이드는 들것에서사실, 우승의 감격보다 지구에 돌아온 것이 더 기쁘다. ... ...
LCD 월드컵에서는 한국이 우승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출발한 빛은 편광판을 통과해 방향성을 갖지만 배열이 다른 편광판을 만나면
진행
을 멈춘다.반면 LCD는 두 편광판 사이에 액정을 넣어 빛이 꽈배기 모양으로 90° 비틀리면서 편광판을 통과할 수 있다. 액정을 둘러싼 전극판 사이에 전압을 걸면 비틀린 액정 분자가 수직으로 정렬된다. 편광판을 ... ...
에이즈 예방 치료약 개발중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電極間隙)을 통과시키면 전자속도가 주기적으로 변화하고 이 전자가 어떤 거리만큼
진행
하는 사이에 위치에 따라 밀도가 변화하는 전자류(電子流)가 된다즉 속도변조가 밀도변조로 변화한다밀도의 진폭이 큰 부분에 전극간극을 놓아 출력을 낸다 입자의 속도를 선별하는 장치 속도포텐셜 고체 속의 ... ...
교실에서 벗어난 미래교육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작은 컴퓨터가 변기, 지하철, 옷에 숨어 나의 일거수일투족을 지켜보며 지원하는 유비쿼터스 시대가 오면 언제 어디서나 무엇이든 배울 수 있을 것이다.이들 컴퓨터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게 맞는 '생생 정보'를 골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 왕복선이나 코뿔소가 전자책에서 튀어나오지 ... ...
특집2.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능력이 점차 쇠퇴한다. 게다가 콜라겐 분해 효소(MMP-1)는 증가한다. 결국 피부에 노화가
진행
될수록 점차 콜라겐 합성은 감소하고 동시에 콜라겐 분해는 증가해 피부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인 콜라겐의 총량이 큰 폭으로 감소한다. 이로 인해 주름이 생기는 것이다. 나이든 사람이 피부에 상처를 ... ...
기획3. 가상 도둑 잡으며 학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받는다. 출석은 전파식별(RFID) 방식으로 자동 확인된다. 전자교과서를 이용해 수업이
진행
되고 교실 벽은 학습 내용에 따라 수시로 바뀐다. 마지막 수업은 사람의 혈액에 대해 배우는 과학시간. 자신의 혈액을 채취해 제출한 뒤 집으로 돌아간다. 집에 있는 스크린에서 가족 스케줄, 날씨, 교통상황 ... ...
나노 화폭에 펼친 명장의 솜씨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물이나 기름에 섞은 나노 유체를 개발해 유동성과 열 전도성을 높이는 연구도 함께
진행
하고 있다.지난 2003년 연구팀은 금속을 연소시켜 정육면체 모양의 마그네시아(MgO, 산화마그네슘) 나노큐브를 만들었다. 마그네시아 나노큐브는 에너지를 주면 강한 빛을 뿜는 특성을 갖고 있어 나노 광전자 소자 ... ...
이전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