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d라이브러리
"
대신
"(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액정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미니워드프로세서의 디스플레이 등이 개발되었다. 곧이어 TV에 응용되어 브라운관을
대신
할 새로운 영상디스플레이로서 액정은 다양한 미래를 상상하게 했다. 스와세이코와 엡슨이 78년 1.6 인치의 액정화면 시험제작에 성공하고, 82년에는 잇따라 단색의 TV시계, 84년에는 포켓컬러TV를 발매하고, ... ...
PART4 인체를 닮아가는 인공장기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입었을 경우 피부의 대용물이 꼭 필요하게 된다. 오랫동안 연구자들은 피부를
대신
할 폴리머를 실험해 왔다. 그러나 이 대용물은 감염과 거부반응을 막아주지 못하는 약점이 있었다. 돌파구를 연 것이 MIT가 개발한 '스테이지 1스킨'이란 인공피부. 구성성분은 소의콜라겐 섬유에서 얻은 다공성 ... ...
PART10 고성능 폴리머 분자설계의 위력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폴리머의 용도는 일신되었다. 현재 어떤 종류의 폴리머는 알루미늄과 그밖의 구조재료를
대신
해 높은 온도와 큰 기계적 힘을 받는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또 어떤 폴리머는 전자공학 광통신 컴퓨터 분야에서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런 새로운 역할이 가능하게된 것은 폴리머의 성질전반에 대해서 ... ...
생나무 안테나로 텔레비젼을 본다.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실험에 의하면 1kw의 송신기에서 2백50km나 떨어진 지점에서 바나나나무를 안테나
대신
으로하여 본 흑백텔레비전의화상은 '상당히 양질'이었다는것.바나나 나무 외에도 큰 잎이 있는 나무면 수신이 가능하여 코스타씨는 안테나를 살수없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이방법을 널리 보급하려고 계몽하고 있다 ... ...
고성능 256KS램 개발 주역 김 창수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그러나 80년대 전반에는 일본사람들은 찾아볼 수가 없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 일을
대신
했다고 볼 수 있읍니다.이를 두고 욕만 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배우는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는 일 아닙니까. 그러나 앞으로는 다를 것입니다. 뒷자리에서 카메라로 찍어대는 입장에서 앞에 나가 발표하는 ... ...
PART2 로보토피아의 실현 새로운 산업사회와 메카트로닉스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일만하는 성실한 일꾼이다. 이들은 단순 반복작업이나 위험한 작업에서 우리 인간을
대신
해줄 뿐 아니라 일관성있는 작업으로 균일한 품질을 보장해 주기도 한다.산업용 로보트는 (그림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계와 전자기술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만들어지는 복합시스템으로서, 인간으로부터 ... ...
한국항공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사립대로 변신하면서 면모가 크게 바뀌었다. 국립대로 누려왔던 특징들을 잃어버리는
대신
사립대학으로의 도약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항공산업이 본격화되는 시점을 맞아 항공대학의 위치와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 ...
지동설이 확립되기 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위해서는 원운동
대신
다른 형태의 운동을 끌어들여야만 했다. 여기서 '케플러'는 원운동
대신
타원운동을 도입하게 된 것이다('케플러'의 제1법칙). 왜냐하면 타원운동은 화성의 불규칙 운동 뿐 아니라 태양계의 모든 별들의 운동까지 잘 설명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로써 처음으로 태양계의 ... ...
PART2 비약적인 기술혁신의 비결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요청했다. 미국과 일본의 기술마찰의 시초가 된 것이다.일본이 처음 낸 제품은 진공관
대신
트랜지스터를 썼을 뿐 덩지는 작지않았다. 스피커를 비롯해 모든 부품의 소형화를 위해 모든 부품 메이커들이 소형화 연구에 뛰어들었다. 작은것이 갖는 매력에 끌리는 일본인 고유의 심성과도 맞아 ... ...
제임스D.왓슨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했으나 X선으로 찍은 사진은 보통사진과는 다른것이다. X선을 수렴하는 렌즈가 없어
대신
수학을 이용하여 DNA의 구조가 이렇게 되었을 것이라는 추리를 근거로 모델을 만들어야만 했다. 크릭과의 만남1951년 왓슨이 자리를 옮긴 케임브리지대학의 캐빈디쉬 연구소는 결정구조연구에 X선을 사용한 ... ...
이전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