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산성 장내에서 유해균 잡는 유산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이번 연구를 통해 루테리균이 강력한 항균물질인 ‘루테린’을 생성해 장내의 유해균에
대해
완벽한 사멸효과를 갖고 있음을 국내 최초로 입증했다.박 교수는 “지금까지 알려진 수백가지 유산균들은 산성에 약하기 때문에 사람이 유산균을 먹을 경우, 위산이나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대부분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얻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로 볼 때 이미 많이 진행된 암에
대해
서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당분간 암의 치료법은 기존의 수술, 방사선 및 화학요법과 병행해 유전자치료를 사용하는 방식이 돼야 할 것이다.아직 넘어야 할 산 많아유전자치료는 아직 임상실험 ... ...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떨어진 곳에서 약 2억년을 주기로 공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호에서는 우리은하에
대해
알아보자.★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1) 은하수의 굵기는 계절에 따라 다르다. ( )(2) 은하수는 어느 계절이고 천정에서 볼 수 있다. ( )I 정답 해설 I위와 같은 문제들은 너무 주관적이어서 천문학 ... ...
휴대폰에 침투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모두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제는 우리의 상상력을 초월하는 미래의 바이러스에
대해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또 백신 프로그램과 같은 정보보호 프로그램에만 의지하는 수동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사용자 스스로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지식을 습득해 대처하는 적극적인 정보보호 ... ...
제4회 컴퓨터창의성대회 시상식 거행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열려있는 대회예요” 라고 말했다.동상 이상 입상자에게 겨울캠프 교육그러나 이 대회에
대해
오해를 하는 학생이 있다. 심사위원에 따르면 해를 거듭할수록 학생들의 컴퓨터 실력은 눈에 띄게 향상되고 있다. 실제로 학생들의 작품을 살펴보면 컴퓨터 실력은 전문가 못지 않다. 그래픽 툴인 ... ...
영화관의 감동 거실에서 만끽한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출력 설정을 맡아주는 DVD Genine(쉐어웨어)라는 프로그램이 또한 필요하다.홈시어터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면, PC통신 하이텔이나 천리안 등에 접속해 GO AV를 하면 좀 더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다 ... ...
언어 능력 담당하는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사람은 이런 자연스런 기능을 실행하지 못한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언어장애의 원인에
대해
다양한 연구를 해왔지만 그 구체적 증거는 찾지 못했다.하지만 이번 모나코 박사의 연구결과로 언어 습득에 필요한 유전자의 위치와 기능이 밝혀진 셈이다. 뇌에는 언어습득에 필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전쟁에서 마침내 인간이 승리할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준 먹는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에
대해
알아보자.미 보건부 장관이 직접 판매 승인 발표글리벡(개발명 STI-571, Glivec/Gleevec)은 지난 1998년 스위스의 제약회사 노바티스사가 만성 골수백혈병(CML, Chronic Myeloid Leukemia) 환자를 위해 개발한 약이다. 미 ...
04 난치병 치료의 든든한 동반자 한의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으로 나눌 수 있다. 체액성 면역은 외부의 이물질인 항원에
대해
인체 내부에서 이를 격퇴할 항체를 만들어 방어하는 방법이다. 한번 본적 있는 항원이 인체에 다시 침입하면 이를 기억하는 항체는 폭발적으로 증가해 항원을 쉽게 물리친다. 이를 ‘면역 기억’이라 한다.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정신과정이 더 많이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만약 주위에 사람이 있다면 반응시간에
대해
간단한 실험을 해볼 수도 있다. 우선 주위 사람에게 두개의 숫자(예: 2, 7)를 기억하게 한 후 하나의 숫자(예: 7또는 9)를 불러준다. 그런 후 불러준 숫자가 먼저 기억하게 한 숫자들 중 하나인지를 말하게 한다. ... ...
이전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