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맨틀과 핵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부각되고 있다. 케임브리지대학의 지구물리학자들은 지구의 열 보존원칙에 따라 핵의
발전
역사를 설명할 수 있는 수학적 모형을 제시하기도 했다.이와같은 지구내부의 모습, 즉 천천히 출렁이는 광물 용액 속에서 더욱 천천히 커져가는 고체공의 모습은 너무도 눈에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또한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이제는 세포배양기술 유전자재조합기술과 염기서열 결정의 자동화 등 관련기술이
발전
했으므로 전체 염기서열을 결정하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라는 계산이다. 근육경직을 일으키는 유전병인 낭성 섬유종의 유전자가 클론(clone)되고 그 염기서열이 결정됐는데, 이에 소요된 ... ...
연료전지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기대되고 있다.국내개발과는 별도로 한국전력에서는 일본에서 개발한 50KW급 연료전지
발전
설비 1기를 도입, 내년에 대전에서 개최되는 93엑스포에 전시할 계획을 갖고 있다. 또 가스공사에서도 미국의 2백KW짜리 연료전지를 도입할 예정이다.아무튼 연료전지에 대한 관심이 국내에서도 빠르게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것. 일본은 가시와자키 - 가라와 계획을 수립, 2010년까지 총 2백억달러를 투입해 원자력
발전
소를 40개 더 증설할(현재 38개) 것이라고 한다.아무튼 올해는 핵무기의 감축과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논의가 줄기차게 진행돼 왔고, 또 가시적인 성과도 상당히 많았던 해로 기억될 것이다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태백제비꽃은 어디에 가면 볼 수 있으며 그 생태는 어떠하다는 지식을 정리하고
발전
시켜야 할 필요를 절실하게 느꼈다. 아마추어 활동이 활성화된 일본만해도 둥굴레회 제비꽃회 등이 상당수 존재하며 아마추어가 둥굴레 하나를 좇아 학위를 받기도 한다.또하나 중요한 측면은 자성식물에 대한 ... ...
지구온난화 막아주는 CO₂고정화기술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가스다. 그러므로 소규모는 우리 인간들의 코로부터, 크게는 석탄이나 기름을 사용하는
발전
소나 공장의 굴뚝으로 부터 나오는 배기가스 속에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포함돼 있다. 가정의 부엌 그리고 도로위에서 달리고 있는 모든 자동차의 배기가스에서 나온다.탄산가스에 대해 지금까지 ... ...
1. 세계각국의 비디오텍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단말기에서 해석할 수 있는 문자)를 조합하여 정보를 제공한다.냅립스방식은 북미에서
발전
,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으로 화상자체를 모두 코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 즉 원을 표현하고자 할 때 단말기에 원 지름의 양 끝에 해당하는 두 점의 좌표와 원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마르스옵서버를 시작으로 미국과 옛소련 양국 중심에서 본격적인 국제협력 시대로
발전
할 전망이다. 소련이 붕괴됨에 따라 러시아가 화성탐사의 맥을 잇고는 있지만 워낙 돈이 많이 들어가고 기술도 정밀해야 하므로 혼자서는 감당하기 힘들다. 이러한 사정은 미국도 마찬가지. 당장 돈을 벌 수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것인가. 그 변혁의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인가.그러나 과학자들은 이러한 혁명적 기술
발전
의 한계를 이미 그리고 있으며, 어느덧 거의 다다랐다는 것을 알았다. 도저히 뛰어넘을 수 없는 기술 장벽이 20세기의 끝과 함께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다가오는 21세기는 어쩌면 중세와 같은 긴 기술동면의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놓고 그 중에 어떤 것을 지적함으로써 명령을 실행하는 메뉴방식이 등장했다. 여기서 더
발전
한 것은 화면상에 작업 내용을 나타내는 심볼(아이콘이라고 한다)을 표시해 두고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화살표를 움직여 원하는 그림을 지적해주면 그 명령이 수행되는 ... ...
이전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