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 거대로봇과 새떼로봇이 싸운다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보였다. 자세히 보니 로봇 새였다. 병사 한 사람은 어 이없다는 듯 고개를 저었다. “이제 우리 다 죽게 생겼구먼. 고작 이걸 가지고 저 로봇을 상대하겠다는 거야?”그러나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전차장이 혀를 내두르 며 말했다. “아니 그렇지 않아. 이거 정말 기발한걸. 어 쩌면 우린 이 전쟁을 이길 ...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과학동아 l2014년 08호
- 2000년 가까이 ‘평평한 공간’ 개념이 수학과 물리학을 지배하고 있었으니까요. 그런데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 자체가 휘어있다니,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지요.아인슈타인 역시 처음에는 리만 기하학을 부정했습니다. 그래서인지 일반상대성 이론은 아인슈타인의 다른 이론들에 비해 무척 ... ...
- ❻ 의학&공학 - 내 몸을 꿰뚫어보는 수학, 몸 구석구석 흐르는 수학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미치는 영향 분석, 전파나 목소리 분석, 소음 제거 등에 폭넓게 쓰이고 있습니다.우리 몸 구석구석 피의 흐름을 계산하는 수학공식도 있습니다. 프랑스의 물리학자 클로드 루이 나비에와 아일랜드의 수학자 조지 스토크스가 1822년에 만든 나비에-스토 크스 방정식입니다. 혈액 속 3차원 공간에서 ... ...
- 양자냐 아니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디-웨이브가 엄밀한 양자컴퓨터가 아닌 게 맞다는 주장도 있다. 안도열 서울시립대 우리석좌교수는 “(양자컴퓨터를 흉내 낸) ‘양자시뮬레이터’로 보는 게 더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연욱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도 “양자역학적 특징이 섞여 있는 컴퓨터라고 보는 게 더 적합할 것”이라고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있고, 지금 이 순간에도 성능은 놀라운 속도로 개선되고 있다. 안도열 서울시립대 우리석좌교수(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초창기부터 국내 양자컴퓨터 분야를 이끌어온, 이 분야의 개척자다. 1998년부터 연구단을 꾸려 반도체를 이용한 양자 연산을 시도하고 있다. 반도체 안에는 자유전자가 ... ...
-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같이 공부하도록 했는데, 반응이 매우 뜨거웠다. 양 부사장은 “이우영 교수처럼 처음에 우리 책으로 공부를 했던 학생이 교수로 돌아와 책을 집필하거나 번역하는 일도 많다”고 말한다. 살아있는 수학책의 역사인 셈이다.적지만 꾸준하게, 수학 서적을 늘려간다1990년대 이후 수학 전공 서적이 ...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유대인이었던 아인슈타인(Einstein)은 1933년 히틀러가 지배하는 독일을 떠나 미국 프린스턴대에 보금자리를 마련한다. 양자역학을 거부했던 아인 ... 입자의 스핀이 전 우주적으로 얽혀있을 수도 있고, 실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매트릭스에 사는 걸까, 실제 세계에 사는 걸까 ...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얼굴에서 마구 분화해 여드름을 없애주지 않는다. 다만 ‘줄기세포 배양액’은 우리 몸에 좋을 수 있다.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생장인자 등 유용한 부산물이 나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슨 성분이 얼마나 들어있어 피부에 어떻게 좋은지 분명한 연구는 없다. 인삼이 몸에 좋으니 인삼 달인 ... ...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m라면 별 것 아니지만 물은 바람보다 밀도가 무려 1000배나 크다. 물이 초속 2m로 흐를 때는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입혔던 매미나 볼라벤 같은 초대형 태풍과 비슷한 힘을 가진다. 당시 항구에 있던 대형 크레인이 넘어진 것만 봐도 물이 초속 2m로 흐르는 것이 얼마나 강력한 흐름인지 알 수 있다. 이 ... ...
- 기계생명체의 탄생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조절했다.오른쪽 ‘쿠스토스 카붐’이라는 기계생명체의 배 안에 있는 회로는 마치 우리의 척추신경계를 닮았다. 이렇게 태어난 ‘쿠스토스 카붐’은 잠자는 어린이처럼 쌔근쌔근 숨을 쉰다. 동영상으로 만나보자.▲ 우나 루미노 포르텐텀 Una Lumino Portentum, 2009 Scientific name : Anmopispl Avearium cir ...
이전54854955055155255355455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