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제
인간
어디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복제된 양 한마리가 세계를 떠들석하게 만들고 있다. 일반인뿐 아니라 과학자들 자신도 커다란 충격에 사로잡혀 있다. 정자와 난자가 결합하지 않은 채 사람이 탄생할 수 있을까.
인간
복제가 과연 가능할지에 대한 과학적인 진단과 함께 영화와 소설 속에 등장한 복제
인간
의 정체를 밝혀보자. ...
1. 1993년부터
인간
복제 시작됐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등장한 복제
인간
의 출현을 앞둔 시점에서 과학의 발전과
인간
의 존엄성 앞에서 고민하는
인간
의 양면성이 어떻게 전개될지 쉽게 점치기 어렵다.핵치환법복제 동물을 생산하는데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핵치환(nuclear transfer또는 nuclear transplantation)이다. 이 과정의 대부분은 현미경에서 ... ...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주제로 구성된다.1층의 중앙에는 3층까지 뻗어있는 금속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자연과
인간
과 과학의 조화’를 뜻하는 상징물이다. 이곳에서 위로 올려다 본 전시관의 맛이 색다르다. 벽 곳곳에 라이트형제가 만든 비행기, 우주왕복선 콜롬비아호를 비롯한 멋진 전시품들이 걸려 있다.강물의 ... ...
인류 최고의 에너지 자원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때문이다. 대부분 육상에서 살았던 공룡들은 죽은 후 바로 분해되는 바람에 석유로 남아
인간
과 인연을 맺는데 실패했다. 4.어디에 묻혀 있을까-지하 저장탱크는 작은 공극지하 깊은 곳의 커다란 동굴이나 웅덩이에 석유가 저장돼 있다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곳에 우물을 파거나 ... ...
우주탐사의 심장부 고다드 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은박에 싸인 채 허블망원경 동체를 본딴 에뮬레이터 옆에 놓여 있었다. “저 두가지는
인간
이 만들어낸 가장 정교한 기계”라고 말하는 박사의 말에서 첨탑같은 긍지가 느껴졌다.NASA 고다드에서는 70년대에 ‘실현 불가능’ 판정을 받았던 월면 자외선천문대 ‘류트’를 계획하고 있었다. SF가 ... ...
스타트렉의 순간이동장치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말인가.만일 사람이 순간이동을 거친 뒤에도 여전히 같은 사람으로 남아 있게 된다면,
인간
이란 결국 원자들의 집합체에 지나지 않는다는 유물론적인 시각이 사실로 증명되는 셈이다. 이러한 생각은 육체와 영혼이 별개로 존재한다는 영적인 믿음에 정면으로 상충된다. 결국 순간이동장치는 영혼과 ... ...
속도의 매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쓸까.
인간
의 눈으로 측정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1980년대부터 도입된 컴퓨터 계시기는
인간
의 오차를 최대한 배제할 수 있다. 출발신호를 피스톤과 시계, 그리고 확성기가 한케이블에 연결돼 있어 선수의 부정 출발을 감시한다. 수영의 경우 수영장 끝의 수면 바로 아래에 감지판이 달려있어 정확한 ... ...
2. 컴퓨터시대에 부활된 선사시대의 유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통해서 민주적으로 또 오차없이 행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콘에 대한 몇가지 환상들
인간
이 짓는 표정 하나에서부터 컴퓨터 문화에 이르기까지 아이콘은 매우 넓은 영역을 포괄하고 있다. 따라서 아이콘에 대한 우리의 의견은 매우 분분하다. 아이콘에 대해 우리가 잘못알고 있는 몇가지를 ... ...
서커스사이언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움직이는 것을 눈으로 봐야하는 것이다. 그것도 흔들림이 너무 빨라지기 전에 말이다.4.
인간
의 유연성은 어디까지12살 난 몽골 출신 곡예사. 체벤도리와 치메드(사진)를 보고 있노라면 그들이 우리와 같은 사람이라는 사실이 믿어져지지 않는다. 그러나 생리적으로 그들과 우리는 모두 같은 범주에 ... ...
세계최대크기의 한외룡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3천5백만년 후에는 새로운 소행성이 찾아와 인류를 멸망시킬 수도 있다. 그때까지 우리
인간
은 어쩔 수 없이 자기의 체구를 빌딩 높이까지 계속 키우게 될 것이다.한국 공룡 누가 처음 발견했나과학동아는 96년 8월 특집 '되살아나는 공룡'에서 "72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경북대 양승영교수가 ... ...
이전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