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이야기 이순신과 거북선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20년도 채 못된다. 듣건대 미국공군에서 쓰는 용어의 기지(base)라는 의미로 쓰였던게
최초
의 모양인데 이것을 번역한다면 '자료(data)의 기지'인 셈이다. 아마도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사람들에게 공문이나 자료를 보내는 일도 대단한 일로서 이것을 집중관리하려고 이런 말을 쓴 모양이다. 컴퓨터가 ... ...
우주개발 30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예상을 뒤엎고, 1957년 10월 4일 소련은 아무 예고도 없이 '스프트닉'1호를 발사하여 인류
최초
의 인공위성을 탄생시키는데 성공했다. 무게는 83.6㎏. 한달후인 11월3일엔 1호의 6배나 되는, 무게가 5백8.3㎏인 '스프트닉'2호를 발사했을뿐 더러, 여기엔 '라이카'라는 개까지 타고 있었다. 지구위에 사는 ... ...
충북청원군 두루봉 유적을 통해본 한반도의 구석기 문화와 환경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가까운 곳에 있었던 진달래는 아닐 것이다. 인간이 꽃을 자신의 목적에 따라 쓴
최초
의 예는 6만년전경 네안데르탈인을 묻은 '샤니다르'동굴(이라크)이었다. 역시 꽃가루 분석으로 밝혀진 이 샤니다르동굴의 꽃은 죽음에 대한 경외의 표시로 쓰인 것으로 분석돼 이 굴에 살던 사람들을 '꽃의 ... ...
세계
최초
의 뇌조직 재생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여자가 인류의 숙적 '파킨슨씨'병(뇌성마비)에서 적어도 몇년간 구제되었다. 이들은 사상
최초
로 두뇌에 조직이식수술을 받아 전세계 수백만명의 파킨슨씨병 환자에게 한가닥 희망을 주게 되었다. 지난 82년에서 85년 사이에 수술받은 4명의 환자는 수술받은뒤 병세가 '극적으로 좋아졌다가 다시 ... ...
한국 과학자의 자화상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창간을 앞두고 동아일보연구실이 과학기술자 5백명을 대상(3백 38명 응답)으로 한 국내
최초
의 체계적인 여론조사였다. 과학 기술의 진흥은 무엇보다 실상을 정확히 파악한 뒤 그 시책을 펴나가야 한다는 판단 아래 실시된 이 조사의 설문작성에는 고려대교수 김정흠박사와 과학저널리스트 ... ...
도버해협 해저터널 2백년의 꿈이 영근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따라 터널의 공법도 함께 발전을 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철도 터널로 불러 손색이 없는
최초
의 것은 1830년 9월 15일에 영국의 '맨체스터'와 '리버풀' 사이에 개통된 터널. 19세기에 터널기술은 눈부시게 진보되어 근대적 시공법이 확립되었고 철도터널에서 얻어진 기술은 다른 용도의 터널에 그대로 ... ...
삼성반도체통신 연구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초미니가공설비를 갖추고 있는 것이지요. 또 이 기능을 뒷받침하는 전자빔시스템을 국내
최초
로 도입하여 반도체회로 설계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급격한 기술변화에 대처하여 새 제품을 적기에 생산할 수 있으며 기술개발비의 막대한 외화손실도 막게 되지요"그의 설명은 계속되었다. "또 ... ...
로보트라는 이름의 기능공 그 원리와 효용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등) 현대(현대자동차 등) 기아산업 코오롱 등등을 들 수 있다.이중 대우중공업은 국내
최초
로 컨트롤러를 개발, 로보트의 자체생산에 성공한 케이스로 꼽힌다. 로보트의 두뇌에 해당하는 컨트롤러는 로보트산업의 혁신기술로 로보트제작경비의 60%이상을 차지한다. 대우중공업은 연간 6억원의 ... ...
세계
최초
로 씨앗 받은 세포융합 토마토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세포융합으로 만든 식물로부터는 열매는 얻어도 씨앗은 받지 못한다는 것이 이제껏 생물공학의 상식. 그렇지만 이 상식은 일본의 중앙연구소에 의해 깨졌다. 재배하기 쉬운 종래의 토마토와 담배 모자이크바이러스에 강한 야생 토마토의 세포를 융합시켜 얻은 식물의 열매 속에 종자가 생겼던 것 ... ...
박테리아의 세포침입 포착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세포의 도킹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이것은 박테리아가 세포에 침입하는
최초
의 단계가 된다. 그 다음단계는 유기적으로 전개되겠지만 그 내용이나 메카니즘은 아직 알 수 없다. 박테리아의 세포침입은 병전염의 한개 과정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중요한 것은 박테리아가 세포에 ... ...
이전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