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13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우주선 온 ‘농구공’…역대 최대 운석 발견
채널A
l
2014.03.31
진주에서 또 운석이 발견됐습니다. 그런데 그
크기
가 농구공만 한 소위 말하는 ‘대박’입니다. 가격도 대박일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영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진주에서 네 번째로 발견된 운석입니다. 가로세로 길이가 25cm. 무게는 21kg 가까이 됩니다. 이번 운석은 한반도에 떨어진 ... ...
진료·치료 척척… 피부에 붙이는 '입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14.03.31
따라 즉시 피부에 약물을 투여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먼저 나노(nm=10억분의 1m)
크기
의 입자를 기존의 반도체 공정에 적용, 전력소모를 크게 낮추고 극도로 얇게 만들었다. 보통 실리콘이나 유리로 만드는 딱딱한 기판 대신 나노박막과 나노입자를 사용해 전자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또 ... ...
‘도민준 별’ 쉴틈없이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03.30
행성을 찾는 데 그쳤다”며 “우리 시스템이 구축되면 10분에 한 번씩 자료를 얻어 지구
크기
의 행성까지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계행성을 찾는 연구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듯 태양계 바깥에도 다른 별의 주위를 도는 행성이 얼마나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고, 지구 외의 ... ...
진주 운석 궤도·
크기
밝혀질까
과학동아
l
2014.03.28
화구. 태양보다 밝게 빛나고 있다. - Aleksandr Ivanov 제공 현재까지는 진주 운석의 궤도나
크기
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유성 자체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큰 피해는 없었다. 문제는 진주 운석으로 떨어진 유성체는 물론이고 지난해 2월 떨어진 러시아 소행성까지도 접근을 예측하지 못했다는 ... ...
3D ‘나노’ 프린터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27
방식으로 원하는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나노
크기
에서도 3차원 구조물을 빠르고 쉽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서울대 김호영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은 나노 섬유를 한 가닥씩 쌓는 방식의 3차원(3D) 나노 프린팅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7일 ... ...
7년마다 찾아오는 홈즈, 27일 태양과 가장 가까워진다
과학동아
l
2014.03.26
17등급에서 2.8등급으로 갑자기 올라간 바 있다. 당시 혜성의 핵을 감싸고 있던 코마
크기
가 매우 커 천문학 연구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홈즈 혜성은 1892년 11월 영국 천문학자 에드윈 홈즈가 최초로 발견한 혜성으로, 공전주기가 2007년에는 7.1년으로 나타났지만 현재는 질량 감소로 ... ...
태초에 우주는 급팽창했노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3.25
것은 아냐 우주가 인플레이션으로 원자핵보다 작은
크기
에서 축구공만큼 커졌다. 이
크기
의 우주는 현재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보다 큰 것이다. 인플레이션은 모든 종류의 입자들과 미세 요동들을 발생시켰는데, 이때 중력파도 생겼다. 서울대 천문학과 이형목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 ...
우주에 핀 ‘해바라기’…제2의 지구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03.25
중인 ‘별 가리개’의 모습이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연구진은 외계에서 지구와
크기
나 기온이 비슷한 ‘제2의 지구’를 효과적으로 찾기 위해 새로운 우주비행체를 개발해 시제품 제작에 들어갔다고 20일 밝혔다. 2009년 발사된 케플러망원경이 우리은하계의 15만 개 행성을 관찰하며 ... ...
[기자의 눈] 미세먼지의 습격, 법이 제일 큰 문제다
과학동아
l
2014.03.25
터져나온다.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만분의 1m) 이하인 초미세먼지는 입자
크기
가 워낙 작아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들어오면 곧장 폐포까지 침투해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호들갑을 떨기도 한다. 하지만 정작 초미세먼지를 적게 마실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 ...
‘맞춤형 신약’ 개발 속도전 가능해졌다
과학동아
l
2014.03.24
미세 입자는 물컹물컹한 젤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마이크로(μm·1μm는 10만분의 1m)
크기
의 입자로, 하나의 바이오 물질을 흡수하고 방출할 수 있어 약물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칩 위에는 10만 개 가량의 아주 작은 공간이 있어 이들 미세 입자가 1개씩 들어가 자리를 잡게된다. 칩 위에서 ... ...
이전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