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들의 수수께끼에 생애를 걸다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전파를 발사하는 팔사, 수십억 광년 이상의 거리에서 우주팽창에 참여하는 퀘이사,
빛
조차도 빠져나오지 못하는 강한 중력장으로 이루어진 블랙홀, 성간 공간에서 발견되고 어쩌면 생명체의 진화에까지 연결될지도 모를 복잡한 유기화학물질 등이 논의의 대상이었다. 독일에서의 연구기간을 ... ...
PART II 간척·항만건설·조력발전 등 개발의 명암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제2제철소 및 공업항개발에 관련된 입지논쟁으로
빛
을 보지 못했다.그뒤 조력발전소 건설이 구체화된 것은 한국전력이 76년에 제출한 조력발전추진계획안에서 비롯된다. 정부는 86년말까지 40만KW급 조력발전소의 가동을 목표로 단계별 사업촉진계획을 발표한 바 있는데, ... ...
「정보화사회 그 천의 얼굴」발간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무장돼 있는 것이 이 책의 특징. 특히 저자는 정보화사회의 밝은 측면만이 아니고
빛
과 그림자를 동시에 제시하고 어차피 가야할 길이라면 어두운 측면을 예견 극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 ...
해시계에서 불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각각의 양초는 4시간씩 탈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6개의 초들은 차례로 돌아가면서
빛
났고 마지막 6번째 초가 다 탔을 때는 24시간이 지났다. 그러나 알프레드 대왕이 약속대로 매일 두 개의 초길이 만큼은 종교적 의무에 충실했는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양초나 램프기름을 사용할 여유를 가졌던 ... ...
PART 4 초신성 폭발의 수수께끼 「초신성1987A」는 청색초거성이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쿠반트'는 작년 여름 거의 동시에 초신성으로부터의 X선을 관측했다. 초신성1987A의
빛
은 점차 약해지고 있지만 과학자들의 열기는 좀처럼 식을 줄을 모른다. 어떤 학자는 이런 현상을 두고 초신성을 장미에 비유했다. 지금까진 싹만 보았을 뿐, 이제는 꽃피는 것을 볼 차례라는 것이다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직경 17m의 거대한 거울을 이용한 것이다. 이 포물반사경은 중심에서 14m 떨어진 한 점에 햇
빛
을 집중시킨다. '쉬엘'씨는 지난 가을에 이 시설로 1천4백℃의 온도를 기록했는데 이것은 세계기록이다. 이러한 태양거울을 이용한 발전기는 2백가구에게 필요한 모든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 ...
극지(極地)의 장관 오로라 AURORA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1~10KeV로 자력선을 따라 가속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맥동형 오로라를
빛
나게 하는 입사전자는 1~10KeV와 고에너지 전자를 머금으며 한번 자기권에 잡힌 고에너지 전자가 핏치각산란(pitch angle 散乱)을 받아 입사한것이라 생각된다. 또 커튼형 오로라는 히스형의 VLF전파를 함께 하며 맥동형 ... ...
가속기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시작하여 강X-선(파장이 1억분의 1cm 부근의 단파장 X선)에 이르는 넓은 파장을 가지는
빛
들이 물질내에서의 원자들의 배치상태라든지 전기적인 성질들을 밝히는데 훌륭한 공급원이 된다는 사실의 발견에 따라 방사광 자체의 이용만을 위한 원형 방사광 가속기의 개발 및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렇게 ... ...
지구의 신비를 파헤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가운데는 모래나 뻘속에 파고 들어가 생활하는 종류가 있으며 이들의 눈은 약간의
빛
으로도 사물을 분간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되어 있다고 한다. 따라서 그들의 복안의 구조를 연구하여 카메라의 광도기를 개발한다는 것이다. 그 사람은 교수직은 캐임브리지대학에 두고 있지만 연구비는 주로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따르면 거대한 블랙홀로부터 이렇게 추출된 에너지는 퀘이사를 수억 년 동안 밝게
빛
나게 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판명된다. 따라서 퀘이사의 수수께끼는 이제 거대한 블랙홀 이론에 의하여 풀린 셈이다. 우주로 눈을 돌려야 금세기 초반 양자물리학에 기반을 둔 핵융합 이론이 등장했을 무렵 그 ... ...
이전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