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슈메이커-레비혜성의 핵은 21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공룡을 절멸시켰던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 당시와 거의 맞먹는 것으로 예상된다. 천문
학자
들은 1천년 만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할 정도의 희귀한 현상이라는데 의견이 일치한다.지금까지 밝혀진 충돌 상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충돌할 당시의 속도는 시속 60㎞이며 목성과 혜성의 거리는 약 1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이루어진 물체를 말한다. 이 별에 대한 존재는 이미 1934년 미국의 즈비키(Zwicky)라는
학자
에 의해 예언되었다. 그가처음 계산해낸 중성자별의 반경은 약 10㎞정도. 서울시보다 약간 작은 크기다. 아니면 생텍쥐페리의 동화 '어린왕자'가 살던 별 크기라면 별로 큰 무리가 없다. 동화속 어린왕자처럼 ... ...
지구과학- 방사능이 지구의 역사를 알려준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방사능을 발견한 베크렐, 그리고 우라늄에 섞여 있는 라듐을 분리한 퀴리부부 등
학자
들의 연구 결과로 우라늄 라듐과 같은 원자량이 큰 원소가 방사선을 내면서 일련의 변화과정을 거쳐 납으로 바뀐다는 것을 알아내고 이들 방사선의 정체가 구체적으로 밝혀지면서 보다 과학적인 지구의 ... ...
34억 6천 5백만년전 남조식물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비델은 '네이처'지에서 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한편 미국 펜실베이니어 대학의 고지질
학자
카스팅에 따르면 철의 퇴적은 세균의 도움 없이도 일어난다는 것. 자외선이 물분자로부터 산소를 만들고, 그 산소가 바닷물의 철과 결합해 산화철을 형성시켜 바다 밑에 퇴적시킨다는 이론. 카스팅은 ... ...
안정동위원소 이용한 석유탐사 새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요소들이 지질 시대를 거쳐 오면서 거듭 생긴 세대들과 서로 얽혀 있는데도 지질
학자
의 판단에 절대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예외적인 일이다. 방사성동위원소에 의한 연대를 그만큼 신뢰한다는 뜻이다.석유탐사 활동에서 안정동위원소의 특성을 적용하는 것은 미래에 절대라는 이름이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결론이 났다. 이 연구는 당시에도 논란을 불러일으켜 미국의 과학지 '사이언스'에 과
학자
23명이 연명으로 의혹을 선언했을 정도였다. 그 뒤의 연구에서 이같은 연구의 전제가 된 '지능의 항상성' '유전적 규정성' '측정가능성' 모두에 의문이 제기됐고 '기억의 분자설'은 거의 신용을 잃게 됐다.머리가 ... ...
꽃가루의 힘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연구자들은 믿고 있다.현재 워싱턴 대학에 있는수분(授粉) 생물
학자
인 포돌스키는 '이상하게 유혹하는 식물'에 관해 연구하고 있는데, 이는 꽃이 피는 관목으로 '베스렐리아 트리플로라'라고 잘 알려져 있다. 이 관목들은 벌새에 의해 수분되는데, 이 나무에 많은 꽃이 피어 ... ...
옮겨 심으면 죽어 버리는 모데미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감춰버려 자세한 연구도 마치기 전에 절멸되지 않았나 염려됐다.이러한 모데미풀은 우리
학자
들의 꾸준한 탐색 끝에 1968년 강원도 점봉산에서 이창복 박사에 의해 재발견된 다음 1972년 전북 덕유산에서 박만규 선생에 의해 확인됐고, 그 후 경북 충북의 소백산(정영호) 제주도(김문홍) 등지에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중요하게 쓰이는 NGC(New General Catalogue of Nebulae and Clusters of Stars) 목록은 1888년 영국의 천문
학자
그레이어가 편집한 성운과 성단의 성표로, 천구 전체의 각종 성운과 성단 7천8백40개의 위치와 성상이 기재되어 있다. 우주공간에 떠있는 구름별과 별 사이의 넓은 공간에는 육안으로는 보이지 ...
'93 노벨상 수상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멀리스는 PCR 개발 이전에 자외선에 쪼이면 색깔이 빠르게 변하는 플라스틱을 개발한 화
학자
로 알려져 있었다. 캘리포니아대의 생화학과에서 박사과정 중이었던 그는 저명한 과학잡지인 '네이처'지에 '시간 역전의 우주론적 의미'라는제목의 논문을 발표하고 1972년에 생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 ...
이전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