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뉴스
"
연구자
"(으)로 총 5,762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성자'로 답보 상태 수소 저장 기술 돌파구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1
기술은 접시에 놓인 콩알까지 볼 수 있다”며 “금속화합물을 설계하고 실험·보완하는
연구자
들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원자력연구원은 수소 저장 기술 연구를 위해 중성자 빔이 장애물을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중성자분말회절장치와 중성자가 ... ...
“권위 없앤 수평적 문화가 과학기술 바탕 이스라엘 창조경제 견인”
동아사이언스
l
2014.02.21
김 대사는 “우리나라 국정과제인 창조경제 성공을 위해서는 이스라엘의 수많은 우수
연구자
와 기업가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탄생하고 있는지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
X-선으로 나노세계 손바닥 보듯 들여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가시광선으로는 관찰할 수 없는 미세한 크기의 나노 구조가 꾸준히 개발됨에 따라
연구자
들은 나노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와 분자를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X-선 광원'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 덕분에 X-선의 강한 투과성과 짧은 파장을 활용해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내 단백질을 ... ...
DNA 나노필름 한 장으로 '암 꼼짝마'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하는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연구자
들이 환자 맞춤형 ‘스마트 항암제 전달체’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추세다. 중앙대 화학신소재공학부 홍진기 교수팀은 DNA를 이용해 항암제의 방출양과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나노필름을 만드는 데 성공해, ... ...
근육예찬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위한 혁신(Nutrition throughout life: innovation for healthy ageing)’이라는 제목에 혹해 읽어봤다.
연구자
들은 결국 노화란 신체적 기능과 운동성의 퇴화가 핵심이라고 지적하면서 근골격계에 주목한다. 뼈에 대한 얘기는 건너뛰고 근육 얘기만 하면 결국 노화란 근육의 양과 힘, 기능이 소실되는 ‘근감소증 ... ...
무질서가 충전지 역사를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7
왔던 재료를 새롭게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세계적인 나노구조 배터리
연구자
인 미국 스탠퍼드대 이 추이 교수는 “지금까지 양극 재료는 리튬이온전지가 발전하는데 걸림돌이 되어 왔다”며 “이번 연구가 적절한 시기에 양극 재료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고 ... ...
고등과학원 김범식 교수 포스코 청암과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4.02.13
게재했고, 이를 통해 2003년 ‘젊은과학자상’을 수상했다. 이후 거울대칭 분야의 개척
연구자
로서 2007년 최연소 국가석학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2014 세계수학자대회에서는 대수기하학 분야 초청 강연자로 활동한다. 1989년 서울대 수학과를 졸업한 김 교수는 1996년부터 스웨덴 왕립 미타그레플러 ... ...
세포의 분해력으로 내성 결핵균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2
갖는 결핵균까지 나타나고 있어 완전 퇴치는 아직까지 요원한 일인 듯 싶다. 많은
연구자
들은 세포가 쓰고 남은 단백질 찌꺼기들을 분해해 제거하거나 재활용하는 ‘자가포식(autophagy)’ 기능을 활용하면, 세포에 침투한 결핵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정 ... ...
[에디터 칼럼] 황우석과 씻김굿
동아사이언스
l
2014.02.12
맞다고 인정했다라고 말하는 것은 지나친 확대해석”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줄기세포
연구자
들도 특허가 나건 말건 학문적으로 황 박사의 NT-1은 ‘우연히 만들어진 처녀생식 줄기세포로 정리됐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일부 언론에서 말하는 것처럼 “미국 특허청이 황우석 박사가 ... ...
황우석 줄기세포, 美특허 등록?
동아사이언스
l
2014.02.11
또한 인정받지 못하자 특허라도 될 수 있도록 뒤늦게 뛰어든 것이란 말이다. 또 이
연구자
는 “특히 작년에 미탈리포프 교수가 이미 배아줄기세포 복제를 성공한 만큼 황 박사의 특허에서 학문적 가치를 찾기 힘들다”며 “언론에서 과장하며 떠들 필요도 없다”고 강조했다. 한용만 KAIST ... ...
이전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