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4. 디지털 한류 이끄는 '별의 전사들'
과학동아
l
200601
항저우를 방문했을 때 중국인
교수
가 내게 한국에 관한 놀라운 얘기를 하나 해줬다. 그
교수
는 내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으로 재임하고 있다는 소식을 막 들었고, 내 과학적 연구 성과를 수년간 알고 있던 터라 내가 자발적으로 한국에 갔다는 설명에 적지 않게 놀랐다.그는 난데없이 “한국은 ... ...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01
→“줄기세포 현재는 없다. 11개 중 9개는 분명 가짜다.” (12.15 언론에)한양대 윤현수
교수
“내가 직접 테라토마 실험을 했다.” (PD수첩에)→“테라토마 준비작업만 했지 직접 실험하진 않았다.” (매일경제에 ... ...
올해 여성과학기술자상
과학동아
l
200601
태울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진흥 분야 수상자인 이
교수
는 2005년 8월 이화여대에서 열린 제13차 세계여성과학기술인대회 조직위원장으로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러낸 성과를 높이 평가받았다. 그는 2005년 12월부터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회장을 맡고 있다 ... ...
고환 크면 머리 나쁘다
과학동아
l
200601
번식을 위해 두 기관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으로 분석했다.영국 세필드대의 해리 무어
교수
는 “여러 수컷과 교미하는 암컷이 자신의 새끼를 낳을 수 있도록 수컷은 더 많은 정자를 생산하는 큰 고환을 갖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적록색맹의 경쟁력
과학동아
l
200601
볼 수 없는 색을 적록색맹인 사람이 볼 수 있다는 말이다.연구를 주도한 존 몰론
교수
는 “2차 세계대전 때 색맹인 사람들이 적군의 위장을 알아채는데 탁월했다는 속설이 있었다. 이번 연구가 이를 증명한 셈”이라고 말했다. 나뭇잎 등 주변 배경과 비슷하게 보이는 위장색은 보통사람에게는 잘 ... ...
3. 아시아로 세계로 아웃 오브 코리아
과학동아
l
200601
‘아웃 오브 아프리카’(Out of Africa).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프리카 케냐의 광활한 사바나 초원이 아름다운 영상으로 펼쳐지던 영화를 떠올릴 수 있겠다. 하지만 인류유전학을 연구하는 필자에게는 아프리카에서 아시아로 이주한 뒤 다시 여러 대륙으로 팽창해 나가면서 자연선택과 돌연변이, 도태 ... ...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
과학동아
l
200601
지능검사의 창시자인 프랑스의 비네가 주로 언어와 수 개념에 초점을 둔 반면 가드너
교수
는 기존의 단일 지능 개념으로는 인간의 다양한 지능을 설명하기 어렵다며 대뇌에서 독립된 체계로 작동하는 7개의 ‘다중지능이론’을 내놓았다.2003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41개국 만 15세 학생의 ... ...
김희선이 중국에서 인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01
얼굴이 따로 있는 걸까.에뜨 성형외과 박흥식 원장(서울대 의대 성형외과 외래
교수
)은 “나라마다 선호도의 차이가 분명히 있다”고 설명했다. 시대가 변해도 아름다움 자체는 변하지 않지만 일반인들이 선호하는 매력적인 얼굴 윤곽은 변한다는 것.지난해 박 원장은 한국, 중국, 일본의 남녀 유명 ... ...
잃어버린 줄기세포의 희망
과학동아
l
200601
정명희
교수
)를 꾸려 지난해 11월 본격 제기된 윤리문제부터 최근 진위논란까지 황
교수
의 모든 연구에 대해 진상 규명에 나서 23일 중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세계 최초의 획기적 연구 성과로 세상을 뒤흔든, 그 화려했던 논문이 다시 한번 세상을 뒤흔들며 추락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과학적 ... ...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01
생식세포를 제외한 일반적인 세포. 이미 특정 조직으로 분화가 끝난 상태다. 2005년 황
교수
연구에는 피부세포가 사용됐다.계대배양 : 줄기세포를 만들면 5~7일마다 한번씩 여러 조각으로 나눠 각각 다른 용기에 담아 배양한다. 줄기세포가 계속 자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수를 늘리기 위한 방법이다 ... ...
이전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