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포부로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다.암흑물질 공장에 도전하는 LHC역사상 가장 거대한 실험장치인 LHC는 원래14TeV의 에너지로 양성자를 충돌시킬 수 있게 설계됐다. 하지만 초전도자석을 연결하는 부위가 과열되는 문제로 2012년까지 부득이하게 8TeV로 실험을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 ... ...
- [Tech & Fun]추운겨울, 물 없이 씻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기름인 피지도 소수성이기 때문에 더 잘 붙게 되는 원리지요.두 번째로 사용해본 제품은 가장 흔히 사용하는 워터프리 제품인 손세정제입니다. 손세정제를 바르면 시원한 느낌과 함께 알싸한 알코올 냄새가 나는데요. 이건 실제로 알코올의 한 종류인 에탄올이 들어가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기차역 건물 하나를 통과하면 영국국립도서관 오른쪽으로 은빛 건물이 보인다. 유럽에서 가장 큰 생명과학연구소인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이하 크릭 연구소)’다. 크릭 연구소는 외관부터 압도적이다. 2층 건물의 바닥 면적만 9만3000m2, 축구 경기장 13개를 합쳐놓은 크기만 하다. 지붕엔 태양전지를 ... ...
- [쇼킹 사이언스]눈이 두루마리처럼 둘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약하면 눈이 굴러가지 않고, 너무 세면 눈이 바람에 날아가 버리기 때문이지요. 실제로 가장 먼저 구르기 시작한 맨 안쪽 눈은 층이 얇고 서로 붙어 있는 힘이 약해서 바람에 쉽게 날아가 버려요. 그래서 도넛 모양이 되기 쉽죠.마지막으로 두루마리 눈이 잘 만들어지기 위해Brenda Armstrong(W)선 0~1℃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보는 김신혜 기자도 설명서를 읽으며 차분하게 프로그램을 완성시켰지요.이수린 기자가 가장 먼저 카메라 리모컨을 완성했어요. 카메라 리모컨을 스마트폰과 연결한 뒤, 리모컨의 버튼을 누르자 ‘찰칵!’ 소리와 함께 사진이 찍혔답니다. 이수린 기자는 “직접 장치를 만들고 프로그래밍을 할 수 ... ...
- 부르르르~, 자석으로 켜는 진동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진동 로봇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다리! 그래서 진동 로봇의 움직임에 가장 중요한 것도 다리랍니다. 다리의 모양과 길이, 각도에 따라 로봇의 속도와 움직이는 방향이 완전히 달라지지요.진동 로봇은 다리가 짧은 쪽으로 움직이게 돼요. 다리가 짧은 쪽으로 무게중심이 기울어지기 ... ...
- 외국 기자가 본 환태평양 지역의 산업수학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수학자들은 ‘아시아 태평양 산업수학 협력단’을 만들었습니다. 환태평양 국가에서 가장 먼저 산업수학에 관심을 가진 나라는 일본입니다. 지난 2011년 아시아 최초로 산업수학연구소를 세우고, 수학을 산업 현장에 접목시키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일본 산업수학연구소는 기업이 수학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동식물이 다양한 방향으로 진화할 수 있었다.산맥 솟으면서 빙하시대 왔다!지구에서 가장 높은 히말라야산맥은 약 4000만 년전에 생겨났다. 인도양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던 인도대륙과 아시아대륙이 붙어버리다 못해 산이 생긴 것이다. 인도판이 유라시아판과 부딪쳐 그 아래로 섭입하면서 지각 ... ...
- [소프트웨어]앱으로 나를 소개하자!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는 앱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바로 ‘말하는 자기소개’입니다. 새로운 친구를 만나면 가장 먼저 자기 소개를 하게 되지요? 이름은 무엇인지,어느 학교에 다니는지, 취미는 무엇인지 등을 서로 알려 주지요.그런데 매번 똑같은 방식으로 인사하자니 조금 심심합니다. 스마트폰 앱으로 자신을 다른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거리를 찾는 게 첫 번째 관문입니다. 관문이 있는 장소에 대해서만 연결망을 만들어 보면 가장 짧은 거리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번 관문을 통과하면 조선왕조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초상화를 만날 수 있습니다.두 번째 관문_ 경기전에서 수 어림하기무사히 첫 번째 관문을 넘었나요? 두 번째 ... ...
이전5505515525535545555565575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