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창경궁에서 만난 원앙과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다양한 화분매개자를 발견했어요. 교육을 마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오통스 세레 연구원은 “환경 변화에 따라 화분매개자도 함께 변하고 있다”며, “지사탐 대원들이 기록해 준 데이터는 화분매개자에게 영향을 주는 변화 요인을 파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Intro. 과학으로 통일을 준비한다! 반달가슴곰의 팩트체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안녕? 난 비무장지대 ‘DMZ’에 살고 있는 반달가슴곰이야. 최근, 남한과 북한의 사이가 좋아지고 있어서 어쩌면 가까운 미래에 한반도의 백두대간이 이어질 수도 있다고 들었어. 그럼 지리산에 사는 반달가슴곰과 백두산호랑이가 만날 수도 있대. 통일을 위해 과학자들도 준비 중이라던데…. 진짜 ... ...
- [팩트체크 2]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우와~, 남한과 북한의 정상이 만나 올해 안에 종전 선언을 하기로 했다니…. 정말 남북관계가 한 걸음 나아간 건 확실해 보이네. 그런데 판문점 선언문을 보니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고 해. 이게 무슨 말일까?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사라지다!“셋, 둘, 하나, 쾅!” ... ...
- [팩트체크 4] DMZ, 멸종위기종의 천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사실 내가 가장 궁금해하는 소문은 따로있어. 이곳 DMZ가 생태학적으로 엄청난 가치가 있다는 거야. 이 소문도 정말일까? 65년 간 인간 없는 세상, DMZ한반도에는 65년 간 미스터리로 남아있는 지역이 있어요. 바로 폭 4km, 길이 248km인 비무장지대(DMZ)지요. 이곳은 남한과 북한이 전쟁을 멈추기로 하 ... ...
- [과학뉴스] 강력한 레이저를 내뿜는 개미 성운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잡혔어요. 그리고 이 기체가 별의 빛을 증폭시켜 강력한 레이저를 내뿜게 된 거예요.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행성상 성운은 고리 모양인데 쌍성계인 덕분에 개미 성운의 독특한 모습을 갖게 됐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과학뉴스] 달팽이에게 기억 이식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합성할 수 있도록 전달해 주는 물질.연구를 이끈 데이비드 글랜즈먼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기억이 RNA에 저장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군소갯민숭달팽이와 인간의 중추 신경계에서 기억이 전달되는 과정은 비슷하기 때문에 기억이 전달되는 데 사용된 RNA의 종류를 알아낸다면 멀지 않은 ... ...
- [과학뉴스] 레이저로 ‘우주 등대’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 있는 인공조명을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제임스 클락 MIT 항공우주학과 연구원은 “레이저를 이용해 초당 수백 비트의 속도로 간단한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doi: 10.3847/1538-4357/aae38 ... ...
- [과학뉴스] 샤워기 헤드에 박테리아 득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차이가 있었는데, 유럽보다는 미국에서 마이코박테리아가 더 많이 발견됐다. 게버트 연구원은 “지리적 요건, 소독제, 배관 등 많은 부분이 박테리아 생성에 관여한다”며 “정확한 원인을 분석해 이를 토대로 관리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8 / mBio.01614-1 ... ...
- [과학뉴스] 어린이 화재 대피, 화재경보기보다 엄마 목소리가 효과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높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소아과학저널’ 10월 25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잠들어 있는 5~12세 어린이 176명에게 일반 화재경보 소리와 엄마 목소리가 담긴 경보를 각각 들려준 뒤 대피하게 했다. 그 결과, 일반 화재경보기가 울렸을 때에는 53%의 어린이가 잠에서 깼고, 51%가 침실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약 4%인 좁은 범위를 관측했고, 관측된 외계행성 대부분이 300~3000광년 떨어져 있어 후속 연구를 하기에는 너무 희미하다는 한계가 있다”며 “테스는 지구를 13.7일마다 공전하며 이보다 20배가량 넓은, 우주의 약 85%를 스캔할 수 있어 허블이나 스피처 등 우주망원경과 함께 활용해 30~300광년으로 ... ...
이전550551552553554555556557558 다음